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전·가스公, 속 끓는 高환율

원ㆍ달러환율이 1600원대를 향해 가파르게 질주하면서 한국전력한국가스공사 등 에너지 공기업들이 쇼크에 빠졌다.

170달러로 치솟던 국제유가가 40달러선까지 추락했지만 환율이 급등하면서 되레 손실 폭이 커지고 있기 때문. 하지만 정부는 요금인상에 대해 검토하고 있지 않아 공기업들의 이중고가 쉽게 해결되기는 어려워 보인다.


◆환율 폭등에 속앓이 끙끙
유가가 전년고점대비 70%나 하락했지만 한국전력은 올해 1~2월에 발생한 손실이 1조원 수준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는 지난해 연간 손실의 3분의 1에 달한다.

한전 관계자는 6일 "1~2월에 9000억원 가량의 손실이 추가로 생겼다"며 "환율이 10원 오를 때 1280억원의 비용이 늘어나는데 환율이 300~400원이나 올라 손실은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동양종금증권은 하반기에 5%의 요금인상을 가정해도 연간 평균환율이 1450원을 웃돈다면 한전 실적은 지난해보다 악화될 것으로 분석했다.

가스공사도 올 들어 1조원이상의 미수금이 추가로 쌓였다. 가스공사는 전체 비용의 85%를 원료비 구매에 사용하고 있어 환율상승에 직격탄을 맞는다. 특히 환헤지를 거의 하지 않아 환율 급등은 도입비용 증가로 직결되는 상황.

신민석 대우증권 애널리스트는 "유가하락으로 지난해 쌓아뒀던 미수금이 2분기부터 회수될 수 있었지만 환율이 1600원대로 치솟으면서 되레 미수금이 불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지식경제부 관계자는 "지난해 가스공사의 미수금 3조5000억원에 올해 추가로 1조6000억원가량의 미수금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며 "지난해 1월이후 원가연동제가 시행되지 못한 영향"이라고 말했다.

삼성증권은 유가가 40달러일 경우 환율이 1350원대까지 내려와야만 미수금이 회수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정부도 딜레마…일단 요금인상 NO

한전과 가스공사는 정부에 요금인상을 수차례 건의하고 있지만 정부는 일단 지켜보자는 입장이다. 지금과 같은 경기침체에 전기, 가스요금이 인상될 경우 서민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더욱 클 수 있다는 논리다.

하지만 최근 환율이 폭등하는 가운데 슈퍼 추경이 편성되더라도 한전과 가스공사에 대한 정부의 직접적 자금지원은 불가능해 정부의 고민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지경부 관계자는 "솔직히 좀 난감한 상황"이라며 "환율이 너무 올라 (요금동결이 계속되면) 곤란하지 않느냐는 얘기도 나오고 있지만 현재로서 요금 인상은 전혀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2월 소비자물가가 4%대로 상승반전한 것도 부담이다.

이가운데 정부가 지난해 추경편성으로 공적자금을 투입한 가스공사에서 243억원의 배당금을 받아 챙기며 눈총을 받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애널리스트는 "유틸리티 기업들은 이번 정권의 희생양으로 별 재미가 없을 것"이라며 "수천억의 자원개발투자 재원 마련 등도 불투명해져서 불확실성이 크게 높아진 상태"라고 말했다.

실제로 한국전력은 유지보수 등을 위해 올해 7조원가량의 전력채를 발행해야 하며, 올해 1조원이상 투자가 필요한 가스공사도 차입에 의존하면서 지난해 말 현재 부채비율은 400%를 웃돌고 있다. 지난해 들여온 차입금은 6조8000억원으로 차입금 잔액은 14조원에 달했다.

전기요금과 가스요금은 지난해 11월 각각 4.5%, 7.3% 인상된 바 있다.

김재은 기자 aladin@asiae.co.kr
김수희 기자 suheelove@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