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어음만기 쌍용차 협력업체 3~4곳 부도 가능성"

29일 쌍용차 협력업체들이 1000억원 규모의 어음 만기를 맞았지만 정부는 별도 지원책을 검토하지 않는다는 기존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일부 업체들의 부도가 불가피해 보인다.

지식경제부 고위관계자는 이날 "개별업체에 대한 지원은 없다"며 "쌍용차 협력업체 중 3~4곳은 부도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형평성과 시장경제 원리에 따라 자동차 부품업계에 대한 패스트트랙(신속지원 프로그램) 적용과 상생협력펀드만을 내세우면서 채권은행의 채무연장에 희망을 걸고 있다.

이 고위관계자는 "멀쩡한 중소기업들도 흑자부도 위기를 맞는 상황에 쌍용차 협력업체 부도 자체를 큰 일이 난다고 생각하면 안 된다"며 "채권은행이 우량한 업체들에 대해서는 어음 만기를 연장하는 등 채무를 연장해주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특히 쌍용차 전속업체 44곳 중 일부는 쌍용차와 친인척 등 특수관계인으로 현대차, GM대우등 거래선 다변화의 자구 노력을 게을리 한 부분도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정부는 최근 현대차, 하이닉스, 포스코 등 대기업과 은행들이 마련한 7000억원규모의 상생협력펀드가운데 2000억~3000억원 정도가 자동차 부품업체에게 지원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지경부 고위관계자는 "아직 자동차 부품업체에 대한 지원 규모가 파악되지 않지만 현대차와 은행의 출자비율을 고려할 때 2000억~3000억원은 자동차 부품업체에 지원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쌍용차 법정관리 개시 여부에 대해서는 "오늘 실사를 통해 5~6일께 법원의 결정이 내려질 것"이라며 "법원의 허가가 날 경우 어음을 매각할 수 있는 등 부품업체들에게도 숨통이 트일 전망"이라고 말했다.

먹튀 논란을 빚고 있는 중국 상하이차에 대해서도 "100% 철수 개념보다는 앞으로 협력관계를 지속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얘기하고 있다"며 "경기도 평택시 등에서 자금지원에 적극 나서고 있는 등 쌍용차에 대한 분위기가 조금 좋아지고 있는 게 사실"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법정관리로 회생절차에 들어설 경우 정부도 생산성 향상을 위해 2000~3000명의 인력 구조조정은 불가피한 것으로 보고 있어 노조의 반발이 예상되고 있다.

김재은 기자 aladin@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