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GM대우 부품사도 유동성 지원해야

법정관리를 신청한 쌍용차의 파장이 일파만파로 커지는 가운데 GM대우 역시 부품업체에 유동성 지원이 필요하다는 정부의 분석이 제기됐다.

지식경제부는 14일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실물경제 위기대응 현안보고'를 통해 "모기업 GM이 파산하거나 매출부진이 장기화될 경우 유동성을 포함한 경영위기설이 다시 대두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GM대우의 경우 지난해 81만3000대를 생산, 전년대비 13.8% 감소했으며, 전공장 임시휴업을 단행한 12월에는 59.4%가량 급감할 정도로 부진했다.

GM대우의 국내 자동차비중은 생산의 21.2%, 내수의 10.1%, 수출의 26.2%를 차지한다. 1차 협력업체는 총 322개사, 납품액은 8조4000억원으로 전체 부품업계 납품액의 28.6%다. 이는 쌍용차의 생산비중(2.1%)의 10배에 달하는 규모이며, 내수비중 역시 3배이상 큰 것이다.

지경부는 "향후 글로벌 수요 감소 지속과 GM의 감산 등에 대비해 GM대우의 우량 중소부품업체에 유동성 지원을 해야 한다"며 "다만 GM대우가 산업은행 등 국내 4개은행과 설정된 크레디트 라인이 유지되고 있어 당분간 유동성 부족 우려는 크지 않다"고 덧붙였다.

쌍용차에 대해서는 "예상되는 고용불안과 협력사 경영부실에 따른 악영향을 최소화하도록 정책적 노력을 결집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현재 자동차 협력업체 지원을 위해 완성차 업체의 상생협력자금과 정통기금 등 장기저리의 R&D자금을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와 관련 전광우 금융위원장은 13일 "전속협력업체와 그렇지 않은 곳을 나눠 쌍용차 협력업체를 차등지원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라고 밝혔다. 44곳에 달하는 쌍용차 전속협력업체의 경우 중기 패스트트랙 적용 외에 별도의 지원을 검토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에 대해 지경부 고위관계자도 "전속업체의 경우 패스트트랙을 적용해 평가할 경우 대부분 C, D 등급에 해당될 것으로 보인다"며 "자연스럽게 전속업체와 그렇지 않은 부품업체가 나뉘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아직 쌍용차 부품업체만을 위한 지원프로그램을 제시하기는 부처간 협의가 진행중이라 말하기 부적절하다"며 차등지원 가능성을 열어뒀다. 지경부에 따르면 쌍용차 전속 납품업체 44곳의 납품액은 전체의 18.5%에 해당하며, 납품비중이 50%를 넘는 업체는 70개사에 달한다.

한편 쌍용차 부품업체 협의회는 13일 정부에 1월말 만기가 도래하는 1000억원 정상 결제 등 만기어음 정상결제를 요청했다. 아울러 쌍용차의 정상가동, 대중소기업 상생협력펀드의 2,3차 협력업체 활용, 노조관계 개선 등도 함께 요구했다.

송명호 평택시장은 "쌍용차 사태로 평택 지역사회 경제는 빨간불이 켜졌다"며 "경기도와 비상회의를 통해 부품업체 대출한도를 5억원까지 확대키로 했다"고 말했다.

김재은 기자 aladin@asiae.co.kr
우경희 기자 khwoo@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