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연금개혁, 86세대는 꿀빨고 청년은 독박…거부권 쓰고 재논의해야'

"받는 돈 그대로 뒀다면 내는 돈 올렸을 수도"
거부권 행사 후 재논의 해야
나경원 "이번 개혁 조건부 합의, 연금특위서 근본개혁 논의해야"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는 23일 여야 합의로 통과된 국민연금법 개정안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번 연금개혁안에 대해 한 대표는 "연금을 더 받는 86세대는 꿀을 빨고, 올라간 돈을 수십 년 동안 내야 연금을 받는 청년세대는 독박을 쓰는 것"이라며 "거부권 행사 후 다시 논의해야 한다"고 했다.

한 전 대표는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이번에 통과된 안은 ‘내는 돈’ 뿐 아니라 ‘받는 돈'(소득대체율)도 올렸다"며 "심지어 ‘내는 돈’은 8년간 천천히, ‘받는 돈’은 즉시 올렸다"고 했다. 그는 "돈이 부족해서 개정하는 거라는 원래 목적을 생각해보면, 더 받게 하는 것이 이상하지 않다"면서도 "만약 ‘받는 돈’을 그대로 뒀다면 ‘내는 돈’을 덜 올릴 수도 있었다"고 꼬집었다.

그는 "고통 분담을 해야 하는 이 와중에도 86세대는 고통 대신 이익을 받고, 그걸 위해 청년세대가 더 고통받게 된다"고 지적했다.

한 전 대표는 연금개혁과 관련해 '모처럼 국회와 정치권이 국민으로부터 칭찬받을 일을 해냈다'고 평가한 이재명 민주당 대표나 '년들이 반대한다고 덩달아 반대한다, 뭘 알고 그런 말을 하는지 안타깝다'는 홍준표 대구시장의 평가에 대해 "부끄럽다", "안타깝다"고 꼬집었다. 이어 "청년세대를 향해 청년세대가 이해 못 할 대단한 무슨 깊은 뜻이 있는 것처럼 가르치려 들지만, 단언컨대 그런 깊은 뜻 없다"고 했다.

우원식 국회의장과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왼쪽),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오른쪽)가 20일 국회 의장실에서 국민연금 개혁안 합의문을 발표하고 있다. 2025.3.20 김현민 기자

우원식 국회의장과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왼쪽),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오른쪽)가 20일 국회 의장실에서 국민연금 개혁안 합의문을 발표하고 있다. 2025.3.20 김현민 기자

이번 개혁으로 구조개혁이 추진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도 회의적인 시각을 드러냈다. 한 전 대표는 "구조개혁 논의도 지금의 혼미한 정치 상황에서 현실적으로 가능성이 떨어진다"며 "민주당은 민노총과 86세대를 위해 챙길 것을 다 챙기고 나머지는 연금특위로 넘겼다. 챙길 것 다 챙긴 민주당이 추가적인 구조개혁에 제대로 임할 턱이 없다"고 질타했다.

한 전 대표는 "18년 만에 어렵게 합의했으니 청년세대가 독박쓰고 넘어가야 하냐"며 "18년간 못한 것, 18년 3개월 만에 제대로 하면 안 되냐"고 덧붙였다. 향후 3개월간 논의를 통해 연금개혁안을 재수립하자는 것이다.

반면 국민연금법 개정 당시 기권표를 던졌던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도 SNS를 통해 이번 개혁은 조건부 개혁으로 수용해야 한다는 생각을 드러냈다. 나 의원은 "이번 땜질식 개혁안으로 그쳐서는 안 된다"며 "곧바로 특위에서 근본적 개혁안 논의에 나서야 한다"고 했다. 이어 "이번 개혁안을 조건부 합의로, 미래세대에게 짐을 떠넘기지 않는 지속가능한 후속 연금개혁을 특위에서 올해 내에 반드시 이뤄내야한다"며 "미래세대에게 감당할 수 없는 부담을 떠넘기지 않으면서도 노후를 안심하고 준비할 수 있는 연금제도, 그것이 모두가 윈윈하는 지속가능한 연금개혁"이라고 밝혔다.

정치부 나주석 기자 gongga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