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동시각]'미국 우선주의'와 한국경제 생존의 길

멕시코·캐나다 관세폭탄 신호탄
생산거점 둔 삼성·LG 등 타격
산업구조 고도화 계기 삼아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가 다시금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그의 정책 핵심은 단순하다. 미국이 직접적이고 즉각적인 이익을 얻지 못하면, 오랜 동맹 관계조차 무의미하다는 논리다. 이는 동맹과 협력보다 자국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삼는 초강경 정책으로, 국제 경제와 무역 질서에 큰 변화를 예고한다.

이광호 산업IT부 재계팀장

과거 재임 시절 트럼프 당선인은 무역적자 해소를 명분으로 주요 교역국들을 겨냥한 ‘관세 폭탄’을 단행했다. 그리고 25일(현지시간) 멕시코와 캐나다, 중국 등 주요 수입국들에 대규모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계획이 다시 발표됐다. 그는 취임 첫날인 내년 1월 20일부터 중국에는 추가 관세에 10%의 관세를 더 부과하고, 멕시코와 캐나다에는 각각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을 발효하겠다고 선언하며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던졌다.

이 같은 조치는 멕시코가 미국 수출 1위국으로 부상한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멕시코는 연간 4756억달러(약 663조원) 규모의 상품을 미국에 수출하며, 중국(4272억달러)과 캐나다(4211억달러)를 제쳤다. 한국은 1162억달러로 6위를 기록하고 있지만, 트럼프 당선인의 ‘보편적 관세(모든 수입품에 관세를 10~20% 추가 부과) 폭탄’ 예고 속에서 안심할 수 없는 위치에 있다.

미국의 관세 폭탄은 단순히 타국의 수출 감소에 그치지 않는다. 멕시코, 캐나다에 생산 거점을 둔 삼성전자, LG전자, 기아, 포스코 등 한국 기업에도 직접적인 타격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특히, 멕시코·캐나다산(産) 부품으로 생산되는 미국 현지 제품이나 중간재를 수출하는 한국 기업은 연쇄적인 피해를 피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중국의 경우에도 대미 수출 감소로 한국산 중간재 수요가 줄어들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경제부총리 주재의 산업경쟁력 강화 관계장관회의를 확대 개편하기로 했다. 이 회의는 지난 2022년 10월까지 운영되다 최근 2년간 중단됐지만, 상황의 심각성을 고려해 재가동에 나선 것이다. 대통령실 또한 성태윤 정책실장 주재로 긴급회의를 열고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동맹과 적대국을 구분하지 않는다. 한국은 피해를 우려하는 데 그치지 말고, 선제적으로 대응 전략을 세워야 한다. 자동차, 반도체, 방산, 조선 등 주요 산업 분야에서 협력 강화 방안을 제안하며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미국이 공급망 대체가 어려운 방산, 조선, 원자력 분야에서는 협력 강화를 통해 기회를 모색할 여지가 크다.

트럼프 2기의 불확실성은 기업과 정부 모두에 큰 도전 과제지만, 이를 기회로 전환할 수도 있다. 대미 무역 의존도를 다각화하고, 산업 구조를 고도화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이미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한국의 자동차, 반도체, 방산 기술을 기반으로 미국과의 협력을 강화하면서도 독자적인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노력이 중요하다. 결국, 트럼프식 미국 우선주의는 한국 경제에 새로운 위기인 동시에 기회로 작용할 것이다. 철저한 전략과 민첩한 대응만이 글로벌 무역 전쟁 속에서 한국이 생존하고 성장하는 열쇠가 될 것이다.

산업IT부 이광호 기자 kwan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