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춘희기자
"지금까지는 바이오를 안보 개념으로는 안 봤다. 이제부터는 보건안보 측면으로 볼 필요가 있다고 느껴 고민하고 있다."(왕윤종 대통령실 국가안보실 3차장)
세계 최대 바이오·제약 콘퍼런스인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바이오USA)이 국제 정세 속 안보 경쟁의 장이 됐다. 대통령실에서 경제안보를 담당하는 국가안보실 3차장 등 대통령실 인사들이 직접 4일(현지시간) 행사장을 찾아 바이오산업을 안보로 봐야 한다는 언급을 내놓는 상황까지 벌어진 것이다.
이번 바이오USA는 행사 전부터 미국이 중국 바이오산업을 제재하기 위해 생물보안법을 추진하면서 중국 업체가 불참을 선언하는가 하면 행사를 주관하는 미국 바이오협회(BIO)는 전 미군 특수작전사령관을 연사로 부르는 장군멍군이 이어져 왔다. 왕 차장을 비롯해 최선 첨단바이오비서관, 김현욱 경제안보비서관 등 행사장을 찾은 대통령실 인사들도 5일 예정인 한국과 미국·일본·인도 등 동맹국들이 모이는 고위급 회담을 위해 샌디에이고 현지를 찾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은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 롯데바이오로직스, 종근당바이오, 알테오젠 등 국내 기업뿐만 아니라 론자와 싸이티바 부스도 찾아 현황 설명을 들었다. 특히 세계 위탁개발생산(CDMO) 매출 1위 기업인 론자를 찾은 이들은 공급망 안정화를 집중적으로 질문했다. 최 비서관이 의약품공급망에 관해 묻자 헨닉 피터슨 론자 BD 글로벌헤드는 "중국 상하이에 공급망이 있었는데 팬데믹 때 셧다운되기도 했다"고 답했다. 이에 왕 차장은 "공급망에 문제가 생기면 제품 생산에 차질이 생기지 않나"며 "공급망을 다변화하면서 안정화할 수 있는 가능성은 없냐"고 묻기도 했다.
다음날 개최 예정인 고위급회담에서는 이 같은 공급망 문제 등을 안보 문제로 보고 있는 동맹국들이 모여 관련 논의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최 비서관은 "우리 정부에서도 바이오에 대해 중요한 의지를 갖고 있다"며 "내일 다자회담을 통해 의지를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회담의 개최 배경에 대해서는 "지난해 12월 열린 제1차 한미 차세대 핵심신흥기술대화 이후에 팔로우업하는 자리"라며 "양쪽이 다 같이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고, 한미 양자회담으로 시작했지만 한미일을 포함한 다자회담이 됐다"고 전했다.
다만 이 같은 상황이 중국에 대한 배제로 읽힐 수 있는 데 대해서는 경계했다. 최 비서관은 "조심스럽게 나가야 한다"며 "한중일은 어느 나라를 배척한다기보다는 중요 이슈에 있어서는 어느 나라든 적극적으로 협력한다고 보면 좋겠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바이오USA에는 이 같은 상황을 호재로 인식한 국내 기업들이 대거 참석했다. 특히 글로벌 '빅4' 수준으로 꼽히는 CDMO 기업인 중국 우시바이오로직스가 생물보안법의 제재 대상에 포함되면서 국내 CDMO 기업들은 이를 호재로 인식하고 있다. 세계 최대 규모의 바이오의약품 생산용량을 갖춘 삼성바이오로직스를 비롯해 롯데바이오로직스, 에스티팜,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등이 이번 바이오USA를 찾았다. 이외에도 셀트리온, SK바이오사이언스·SK바이오팜 등이 부스를 마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