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기자
의료계가 촛불집회에서 '큰 싸움'의 시작을 알리고 '의사 총파업'을 묻는 투표를 논의한 가운데 실제 파업 가능성에 이목이 쏠린다.
임현택 대한의사협회 회장은 지난달 30일 서울 중구 덕수궁 대한문 앞에서 열린 의대 증원을 반대하는 촛불집회에 참석해 "정부가 의료현장의 말을 무시한 채 군부 독재를 방불케 하는 일방통행과 폭압적 탄압으로 일관하고 있다"며 "6월부터 본격적으로 의료 농단에 대한 큰 싸움을 시작한다. (의대) 교수님들도 기꺼이 동의해줬다. 이제는 개원의, 봉직의도 본격적으로 이 큰 싸움에 나와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의협 전 회원들을 대상으로 개원가를 포함한 '의사 총파업'을 묻는 투표 시행에 대한 논의도 진행됐다. 의협은 2일 서울 용산구 의협 회관에서 '제42대 시도의사회장 긴급회의'를 열고 의사 총파업 등 후속대책을 논의했다. 하지만 아직 투표 진행 여부조차도 확실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성혜영 의협 대변인은 아시아경제와의 통화에서 "시도의사회장 회의에서 총파업 투표를 하기 위한 토의를 진행한 것은 맞다"면서도 "시도의사회장 긴급회의는 (의사 총파업 투표 여부를) 결정하는 회의 자체가 아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의대 교수들은 파업과 다른 방식의 투쟁에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김창수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 회장은 지난달 31일 가톨릭의대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심포지엄'에서 "앞으로 3년간 정말 가열차게 투쟁해서 의료계의 불합리한 제도를 혁파하겠다"면서도 "투쟁의 방식이 파업 등은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이어 "객관적 연구를 통한 근거를 바탕으로 올바른 방향의 의료 개혁 필요성을 주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구체적 투쟁 내용 중 하나로 최근 전의교협이 발표한 불참·무대응 운동을 들기도 했다. 김 회장은 "불참·무대응 운동은 휴진이나 파업, 휴업보다도 더 파급력이 강할 것"이라며 "운동을 어떻게 전개해 나갈 것인지 계획을 계속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또한 "올해와 내년에 걸쳐 의대 교수노조를 더 활성화하고, 교수들이 병원과 교육, 연구에 대해 별도 계약 관계를 만드는 것을 구상하고 있다. 그렇게 되면 현재와 유사한 사태가 향후 발생했을 때 투쟁이나 파업에서 정당성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구상을 설명했다.
총파업을 두고 의사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분분한 것으로 전해졌다. 3일 한 의사 전용 온라인 커뮤니티에 따르면 총파업을 두고 '당연히 해야 한다'와 '도움 안 되고 역효과'란 주장 모두 제기되고 있다. '총파업이 괜찮은 선택인가요?'라는 내용의 한 게시물에선 "가만히 있으면 가마니가 되니까" "안 하는 것보단 낫지, 진다고 돌아가는 거도 아니고" "더이상 쓸 카드가 없다" 등 찬성과 "바보 같은 방법이다. 파업으로 윤석열 대통령이 말을 들을 리가 없다" "옳다구나 하고 밟아버리는 모습이 나올 수도 있다. 처음에도 그걸 경계하고 사직서를 던지고 나온 거였다" 등 반대 댓글들이 첨예하게 대립했다.
전문의인 한 봉직의도 "총파업에는 부정적이다. 성공 가능성도, 무언가를 얻어낼 가능성도 작다고 생각한다"면서도 "하지만 정부 측에서 의사를 과도하게 악마화하고 자극하는 상황이라 총파업에 반발하기는 어려운 분위기"라고 전했다.
이어 "총파업이 진행되더라도 개원의들의 참여 비율은 10% 수준으로 예상한다. 2020년 파업 당시에도 개원의 휴진 참여율은 10~30%에 그쳤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