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낙규군사전문기자
북한이 추가 군사정찰위성 발사를 예고하지 않고 있다. 위성발사체 실패에 따른 기술 결함을 정확히 찾지 못했거나 러시아를 의식해 재발사를 예고하지 않았을 것이란 추측이다.
북한은 지난 27일 오후 10시 44분께 평안북도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쏜 군사정찰위성 2호기 발사체가 폭발한 뒤 조선중앙통신 보도를 통해 발사 실패를 인정했다. 북한은 "기타 원인으로 될 수 있는 문제점들도 심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재발사 시점은 언급하지 않았다. 과거 발사에 실패하자마자 재시도 계획을 밝혔던 과거와 다르다. 북한은 지난해 5월 31일 군사정찰위성 1호기 발사에 처음으로 실패했을 때는 "여러 가지 부분 시험들을 거쳐 가급적으로 빠른 기간 내에 제2차 발사를 단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8월 24일 두 번째 발사에서도 실패했을 때는 "오는 10월에 제3차 정찰위성 발사를 단행할 것"이라고 구체적인 시점까지 명시하면서 재발사 의지를 드러냈다.
북한은 이번 정찰위성 발사체에 산화제로 액체산소, 연료로 케로신(등유)을 사용하는 새로운 엔진을 적용했으며, 이 엔진의 신뢰성 문제를 발사 실패 원인으로 지목했다. 새로운 연료 체계를 도입하면서 생긴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비교적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어 북한으로서도 선뜻 재발사를 공언하기가 어려웠을 수 있다는 것이다.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안정성을 확보하고 기술을 개선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가능성이 큰데 북한으로서도 이를 예측하기가 매우 어려운 것"이라고 말했다.
정치적으로는 ‘러시아 변수’가 거론된다. 북한은 이번에 액체산소·케로신 조합의 연료체계를 도입하는 과정에서 러시아의 기술적 지원을 받았다는 관측이 많다. 이 경우 문제 해결에도 러시아와 협의가 필요한 만큼 북한이 독자적으로 재발사 일정을 공언하기가 어려웠을 것이란 관측이다. 아울러 현재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방북 일정도 고려 대상일 수 있다. 이번 발사에 실패하면서 북한이 지난해 말 노동당 전원회의에서 천명한 ‘올해 중 정찰위성 3기 추가 발사 계획’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홍 선임연구위원은 "1단 엔진 불안정성 해소를 위한 기술 보강에 최소 3∼6개월이 소요될 수 있다"며 "따라서 올해 최대 1∼2기 정도 발사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