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승욱기자
현대건설이 메가 컨소시엄을 구성해 ‘전기차를 활용한 전력중개거래 생태계 조성’ 연구 개발에 본격 착수한다고 28일 밝혔다.
현대건설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이 공고한 '2024년도 1차 에너지기술개발사업 공모'에서 '에너지수요관리 핵심기술개발' 품목의 연구과제를 수행하는 주관사로 선정됐다. 이에 컨소시엄을 구성해 '전기차 수요자원화를 위한 양방향 충·방전 플랫폼 기술(V2G) 개발'을 위한 업무 협약을 지난 22일 체결했다. 컨소시엄은 현대자동차·기아를 비롯한 전기차와 충·방전소 실증 설비를 제공할 수 있는 사업자 등 총 15개 국내 기관으로 구성된다.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제안한 세부 연구과제는 '소프트웨어중심차량(SDV) 연계 V2G 기술을 활용한 대규모 전기차 수요자원화 기술 및 서비스 생태계 구축'이다. 배터리 충전으로 운송수단으로만 활용되는 전기차에 방전기능까지 추가해 전기차 배터리 자체를 에너지저장장치(ESS)처럼 활용하는 기술 개발과 상용화가 목표다.
이 실증연구에는 정부지원금 약 200억원, 민간 부담금 약 180억원을 포함해 약 380억원의 연구개발비가 투입된다. 역대 최대 규모의 V2G 기술 연구과제로 올해부터 4년간 1500기 이상의 충·방전기를 설치해 V2G 실증을 수행한다. 전기차 배터리를 활용한 V2G 기술은 한정된 에너지 자원의 소비를 줄이고, 이산화탄소 배출을 감소시키는 지속가능한 기술로 눈길을 끌고 있다.
특히 ESS의 기능 일부를 대체해 신재생에너지 발전원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는 날씨의 영향을 크게 받아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어려운 측면이 있다. V2G 기술은 실시간으로 전력을 공급해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전력공급이 부족하면 전기차 방전을 통해 부하 대응을 하고, 잉여 전력이 발생하면 전기차 충전으로 이를 상쇄하는 등 전력 공급과 수요 측면에서 대응할 수 있다. 또 전기차 사용자들은 V2G 부가기능을 통해 전기료를 줄이고 이익을 얻을 수도 있다.
이 같은 V2G 기술을 구현하려면 전기차 제조사를 비롯해 충·방전 관련 사업자, 한국전력 같은 전력시장 운영기관, 가상발전소(VPP) 사업자, 플랫폼 IT기업 등 많은 이해관계자 간 협력과 기술 교류가 필요하다. 특히 전기차 배터리 성능과 내구성에 대한 신뢰를 확보하고 충·방전기에 접속을 적극 유도할 다양한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등 전기차 소유주의 V2G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현대건설 컨소시엄은 이를 위해 현대자동차그룹 SDV의 핵심적인 소프트웨어 기능으로 V2G를 구현해 전기차 소유주가 자율적으로 충·방전 플랫폼을 이용하도록 할 계획이다. 또 배터리의 충·방전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고도화하고 소유주가 쉽게 충·방전기에 접근할 수 있도록 V2G와 관련된 모든 플랫폼을 상호 연동할 예정이다.
한국전력의 배전망, 충·방전기, 전기차 배터리 간 전기의 흐름과 안전한 거래가 보장되도록 표준화한 상호 운용체계도 구축한다. 전기차는 각각 운행 패턴과 사용률이 달라 이를 V2G로 활용하려면 통계화한 발전원으로 관리될 필요가 있어서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V2G 기술은 현대건설이 추구하는 VP 사업에서 핵심 분산에너지자원이 될 뿐 아니라 현대자동차그룹이 추구하는 SDV의 가치를 한층 더 높일 것"이라며 "다음달 분산에너지활성화특별법 시행을 앞두고 V2G를 활용한 다양한 분산에너지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해 전력중개거래사업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