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관광객 돌아온 명동, 한숨 쉬는 가로수길

서울 주요 상권 공실률 상승했지만…
명동 유일하게 한자릿수 공실률

올해 1분기 서울 주요 상권의 공실률이 높아졌지만 명동은 외국인 관광객이 늘면서 '6대 상권'(강남·홍대·가로수길·한남이태원·청담·명동) 중 유일하게 한 자릿수 공실률을 기록했다. 반면 가로수길은 공실률이 5.0% 포인트 상승하며 증가폭이 커졌다.

3일 글로벌 부동산 컨설팅업체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의 '1분기 리테일 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1분기 6대 상권의 평균 공실률은 19.2%로 작년 4분기 대비 0.6% 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공실률이 가장 낮은 곳은 명동 상권이다. 명동의 공실률은 7.6%로 지난해 4분기에 비해 1.9% 포인트, 작년 1분기에 비해 17.4% 포인트 각각 하락했다. 명동 상권은 작년 4분기에 이어 2개 분기 연속 6대 상권 중 가장 낮은 공실률을 유지하고 있다.

명동 다음으로 공실률이 낮은 곳은 한남·이태원 상권(12.3%)이다. 하지만 전 분기 대비 2.6% 포인트 상승했다. 이어 홍대 14.4%, 청담 19.1%, 강남 20.7%, 가로수길 41.2% 순이다.

가로수길에 단기임대 종이가 붙어있다.

특히 가로수길은 작년 4분기(36.3%)에 비해 공실률이 5.0% 포인트 상승하며 공실률 증가 폭이 가장 컸다. 가로수길은 한때 서울의 핫플레이스 상권으로 꼽혔으나 임대료가 급격히 상승하면서 상권이 위축됐다.

강남은 전 분기에 비해 공실률이 2.6% 포인트 낮아졌으나 여전히 20%대다. 보고서는 "서울교통공사에 따르면 작년 10월 외국인 지하철 승하차 인원은 2019년 10월에 비해 한강진·한남·이태원역에서 118%, 성수역에서 350% 각각 증가했다"며 "최근 외국인 관광객의 여행 방식이 단체 관광에서 개별 관광 중심으로 바뀌는 추세에 따라 한남·이태원과 성수 상권의 외국인 방문이 급증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기획취재부 윤슬기 기자 seul97@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