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4월과 상황 달라져'…금리인하 재검토 시사

이창용 한은 총재 "4월 통방, 5월 통방의 근거 되기 어렵다"
미국 금리 인하 지연·한국 1분기 성장률·지정학적 리스크 달라져
"한국 연간 성장률 상향 조정 불가피"

(사진제공=한국은행)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4월 통화정책방향회의(통방) 때와 상황이 많이 바뀌었다"며 "4월 통방이 5월 통방의 근거가 될 수 없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2일(현지시간) 아시아개발은행(ADB) 연차 총회차 방문한 조지아 트빌리시에서 국내 기자단과 간담회를 가져 4월 통방 때와 크게 세 가지(▲미국의 통화정책 변화 딜레이(지연) ▲예상보다 좋은 경기지표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한 유가와 환율 변동성 확대)가 달라졌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이날 미국 통화정책 변화 지연에 관해 "미국의 경제 관련 데이터가 좋게 나오면서 금리를 낮출 걸로 예상하는 시점이 뒤로 밀리기 시작했다"며 "지금 전 세계가 생각하는 건 미국 금리인하 시점이 미국의 견조한 경기와 물가 수준 볼 때 당초보다 뒤로 미뤄졌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1분기 국내 경제지표와 관련해선 "수출은 좋을 것이라 생각했지만, 내수가 우리(한국은행) 생각보다 강건하게 나왔다"며 "정도차가 생각보다 커서 한은 입장에서 우리가 (기존 전망에서) 뭘 놓쳤는지, 그 놓친 것의 영향이 일시적인지 더 길게 갈 것인지 이런 것들을 점검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4월 통방 후 중동사태 등 지정학적 긴장으로 인한 유가, 환율 변동에 대해선 "앞으로 얼마나 안정될지에 대한 불확실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이어 그는 "앞으로 어떻게 할지에 대해선 지금 상황에선 말씀드리기 어렵다"며 "귀국 후 금통위원들과 커뮤니케이션하면서 이것이 향후 통화정책에 어떤 영향일지, 5월 통방 때 조금 더 자세히 말씀드릴 수 있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한국의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에 대해선 "저희(한국은행) 예상보다 크게 차이가 났기에 어디서 차이가 났는지 검토 중"이라며 "GDP 보더라도 내수가 생각보다 좋게 나왔는데 정확한 요인은 직원들이 분석한 데이터를 봐야 알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연간 성장률 상향 조정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작년 한 해 성장률이 1.4%로 낮은 수준이었는데, 작년 한 해 성장한 걸 올해 1분기에 한 것"이라며 "기술적으로 GDP 성장률 상향을 안 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한편 그는 이번 달 통방에 새롭게 합류하는 김종화, 이수형 금통위원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이 총재는 "김종화 위원님은 한은에 굉장히 오래 계셨고 성격도 온화한 분이시고 협의 잘하시는 스타일이라 생각한다"며 "이번에 처음으로 일하는데 가면서 배워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수형 금통위원에 대해선 "이수형 교수는 예전 제 학생이었다"며 "굉장히 잘 안다"고 말했다. 이어 "제가 기대하는 건 이수형 교수가 통화정책뿐만 아니라 여러 제도적인 이슈, 저희(한국은행)가 하고 있는 구조개혁이나 제도적인 것에 대해서 연구도 많이 했고 그걸 분석할 수 있는 학술적인 수단을 한국은행에 가져올 능력과 의지도 있을 것"이라며 "굉장히 좋은 자산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경제금융부 박재현 기자 now@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