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속 용어]뉴스페이스 신호탄, '초소형 군집위성'

24일(현지시간) 뉴질랜드 마히아에서 발사된 후 우주 궤도에 정상적으로 진입한 초소형 군집위성은 지구 궤도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집단으로 도는 100㎏ 이하의 소형 위성의 무리를 뜻한다. 한국이 이같은 초소형 군집위성을 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초소형 군집위성 1호기를 탑재한 미국 우주기업 로켓랩의 발사체 '일렉트론'이 한국시간 24일 오전 7시 32분(현지 시각 24일 오전 10시 32분) 뉴질랜드 마히아 발사장에서 발사됐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번에 발사된 초소형 군집위성은 한반도 및 주변 해역을 고빈도로 정밀 감시하고 국가안보 및 재난·재해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2020년부터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과기정통부의 지원을 받아 개발했다. 이날 발사된 1호기를 포함해 총 11기의 위성체로 구성됐다. 과기정통부와 KAIST는 초소형 군집위성 1호를 시작으로 2026년과 2027년에 각5기를 한국형 발사체인 누리호로 추가 발사해 2027년 하반기 11기 전체를 운용할 계획이다. 이들 위성은 500㎞ 고도에서 흑백 1m, 컬러 4m 이상 해상도의 전자광학카메라 탑재체를 통해 약 3년간 지구를 관측하게 된다.

초소형 군집위성은 다수의 위성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어 기존 소형위성보다 훨씬 더 자주 같은 지점을 감시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무리를 이뤄 동시에 활동하는 많은 만큼 특정 지역에서 이상 현상이 감지됐을 경우 해당 지점을 더 다양한 위치에서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고성능 대형 위성과 상호 보완 운영이 가능하고 전 지구 단위 임무 수행에도 적합해 민간 우주산업의 유망한 수익 창출 분야로 주목받고 있다.

한편 과기정통부는 한국 첫 초소형 군집위성이 제공하는 영상이 기존의 고해상도 정찰자원과의 시너지 효과를 일으켜 24시간 주요 표적에 대한 감시체계 강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태풍, 홍수, 지진, 산불, 가뭄, 폭설 등 이상 기후 현상이나 재해 발생 시에도 영상정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위기 상황 발생 시 국가적 대응능력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편집국 이은정 기자 mybang21@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