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실 분위기 이상하다 싶더니…직장인 절반, '조용한 퇴사'

"현재 회사 연봉·복지 불만족"

직장인 2명 가운데 1명은 '조용한 퇴사'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HR테크기업 인크루트는 직장인 1097명을 대상으로 '조용한 퇴사'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51.7%가 현재 '조용한 퇴사' 상태라고 답했다. '조용한 퇴사'란 직장에서 퇴사하지는 않지만, 최소한의 업무만 처리하며 회사에 기여하려는 의지가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조용한 퇴사'는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기간 밀레니얼 세대 직장인들 사이에서 나타난 근무조건·조직문화·보상 등에 대한 불만과 대규모 이직 현상인 '대퇴직(big quit)'의 연장선상에서 발생했다?.

연차별로는 8~10년 차(57.4%)의 응답률이 가장 높았다. 이어 ▲5~7년 차(56.0%) ▲17~19년 차(54.7%) 순이었다. '조용한 퇴사' 상태인 이들에게 그 이유를 묻자 '현재 회사의 연봉과 복지 등에 불만족해서'(32.6%)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회사에서 일하는 것 자체에 열의가 없어서(29.8%) ▲이직 준비 중(20.5%) 등의 답변이 있었다. 동료가 '조용한 퇴사' 중인 것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 65.8%가 '긍정적'이라고 답했다.

최근 '조용한 퇴사'와는 반대로 Z세대를 중심으로 해고와 퇴사 과정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공개하는 '시끄러운 퇴사'가 유행인 점과 관련해 응답자 44.3%는 '기업의 이름을 미공개하면 괜찮다'고 답했으며, 31.4%는 '상관없다'고 꼽았다. 기업명 공개와 상관없이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응답자는 24.2%였다.

한편 실제 퇴사할 때 유형으로는 아무도 모르게 이직과 사업 등을 준비하다가 퇴사하는 '계획적인 퇴사형'(56.8%)이 가장 많았다. 뒤이어 ▲친한 동료에게만 얘기하다 퇴사하는 '소곤소곤 퇴사형'(27.6%) ▲평소처럼 있다가 갑자기 충동적으로 퇴사하는 '충동적인 퇴사형'(11.0%) ▲평소 퇴사하고 싶음을 여기저기 얘기하다 퇴사하는 '시끄러운 퇴사형'(3.6%) 등의 순을 보였다.

이슈&트렌드팀 구나리 인턴기자 forsythia26@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