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보다 공기 나쁘다는 '바다의 도시'는 어디?

초미세먼지 농도, 인도·중국·튀르키예·UAE·한국 순
도시별로는 부산 5위·서울 8위…1위는 인도의 델리

연평균 초미세먼지(PM 2.5) 수치를 국가별로 비교한 연구 결과가 공개돼 화제다. 여러 국가 중 한국이 미세먼지 '나쁨' 순위 5위에 올랐고, 1위는 중국일 것이라는 예상을 뒤집고 인도가 차지했다.

대한민국 수도 서울에 미세먼지가 가득한 모습. [사진=게티이미지뱅크]

18일 영국 가전제품 회사 다이슨은 '세계 공기 질 커넥티드 데이터' 결과를 공개했다. 해당 데이터는 2022년 한 해 동안 전 세계 39개국을 대상으로 44개 도시 가정에 있는 자사의 공기청정기 250만대에서 수집한 것이다. 다이슨은 공기청정기를 작동할 수 있는 스마트폰 앱(애플리케이션)을 통해 5000억개 이상의 데이터를 모았으며, 한국의 표본 규모는 7만2645개라고 밝혔다. WHO의 초미세먼지 권고 수치는 세제곱미터당 5μg이다.

연평균 초미세먼지 농도가 가장 높게 측정된 나라는 ▲인도(55.18?g/m³) ▲중국(30.78?g/m³) ▲튀르키예(20.77?g/m³) ▲UAE(20.37?g/m³) ▲한국(18.17?g/m³) 순이었다.

연평균 초미세먼지 수치가 가장 높은 도시는 ▲인도의 델리(69.29?g/m³) ▲중국의 베이징(33.38?g/m³) ▲중국의 상하이(27.72?g/m³) ▲중국의 선전(24.56?g/m³) ▲한국의 부산(20.08?g/m³) ▲튀르키예의 이스탄불(19.95?g/m³) ▲UAE의 두바이(19.39?g/m³) ▲한국의 서울(18.47?g/m³) ▲멕시코의 멕시코시티(18.24?g/m³) ▲오스트리아의 빈(17.01 ?g/m³) 순이었다.

북반구와 남반구 모두 기온이 낮은 계절에 실내 초미세먼지 수치가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의 경우 1월에 실내 공기 오염이 가장 심했으며, 한국 1월 초미세먼지 농도는 연중 가장 낮은 8월의 2.6배 이상인 것으로 조사됐다.

다이슨은 "날씨가 추워질수록 사람들이 실내에 머무는 기간이 길어지고 창문을 닫은 채 연소 작용을 하는 난방 시스템을 가동한다"며 "폐쇄된 공간에서 연소 작용이 지속되면 오염 유발 물질이 실외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쌓이면서 실내 공기 질이 악화하므로 겨울철 실내 공기 질을 관리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 보이지 않는 적, 미세먼지로부터 내 몸 지키기
<b draggable="false">1. 미세먼지란?- 미세먼지는 보통 지름이 10㎛ 이하인 먼지를 말한다. 지름이 2.5㎛ 이하인 경우 초미세먼지로 분류한다. 미세먼지는 주로 석탄, 석유 등의 연료가 타거나 자동차 배기가스가 배출될 때 나오게 된다.<b draggable="false">2. 미세먼지가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 미세먼지는 숨을 쉴 때 기관지를 통해 들어와 폐포 깊숙히 침투해 각종 호흡기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이나 기관지염, 천식, 기관지확장증 등의 폐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은 미세먼지로 인해 증상이 악화 될 수도 있다.- 장시간 미세먼지에 노출되면 면역력이 저하되어 감기나 폐렴에 걸리기 쉽다.- 호흡기 질환 이외에도 심혈관 질환, 피부질환, 안구 질환의 발생도 높아진다고 알려져있다.<b draggable="false">3. 미세먼지가 있는 날은 되도록 야외 활동을 피해야- 호흡기나 심혈관계 질환이 있거나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나 노인 등 노약자는 되도록 야외활동을 피하는 것이 좋다.- 일상생활에서 외출이 불가피한 경우에는 황사마스크를 사용하면 미세먼지를 걸러내는데 도움이 된다.- 외출 후 귀가 시에는 손을 깨끗이 씻는 것이 중요하다.<b draggable="false">4. 공기청정기, 미세먼지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까?- High-efficiency particulate air (HEPA) 필터로 구성된 공기청정기를 사용할 경우 실내 미세먼지 농도를 감소시켰다는 보고가 있다.- 다만 공기청정기마다 사용하는 필터가 다르고 결과가 일관적이지는 않아 모두 효과가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실내오염물질 중에는 이산화질소(NO2),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가스상 오염 물질, 여러가지 부유미생물이 섞여 있는 상태다. 그러므로 미세먼지를 감소시키는 것만으로도 실내 공기 오염을 모두 개선했다고 보기는 어렵다.<b draggable="false"><i draggable="false"><자료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호흡기내과 박종선 교수></i>

이슈2팀 고기정 인턴 rhrlwjd0312@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