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라 해피엔딩'…70대 노인 사연 담긴 노트북 가방 결국 찾아준 누리꾼

안타까운 사연에누리꾼·경찰 등 움직여
해당 물품 검암역 유실물센터에 보관돼 있어

사별한 아내에 대한 자료가 담긴 가방을 잃어버렸다며 계양역 곳곳에 벽보를 붙인 70대 남성이 주변의 도움으로 가방을 되찾았다. 22일 공항철도는 인천 계양역에서 가방을 잃어버린 고 모씨(76)가 분실 13일 만인 전날 공항철도 검암역 유실물센터에서 가방을 찾았다고 밝혔다.

생전 아내와 관련한 사진이 담긴 USB에는 고씨의 아내가 세상을 떠난 날짜가 적혀 있다.[사진출처=연합뉴스]

고씨는 당초 계양역 길가에 가방을 놔뒀다가 잃어버린 것으로 생각했지만, 경찰이 폐쇄회로(CC)TV로 확인한 결과 전동차 안에 가방을 두고 내렸다. 고씨는 연합뉴스에 "경찰관이 CCTV를 확인해 제가 계양역 역사 내에서 가방을 메고 있지 않았다는 사실을 알려줬다"며 "전동차 안에 두고 내렸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유실물 센터에 연락했더니 다행히 가방이 있었다"고 했다. 이어 그는 "저에겐 돈으로도 살 수 없는 소중한 아내의 유품을 되찾게 돼서 정말 다행"이라며 "관심을 가지고 도움을 주신 모든 분께 감사하다"고 전했다.

고씨가 인천 계양역 일대에 붙인 가방을 찾아달라는 호소문 [사진출처=온라인 커뮤니티]

그의 노트북에는 공공기관, 산업체 등에서 약 16년간 쌓아온 업무 자료가 저장돼 있었다. 또한 가방에 들어 있던 USB에는 2년 전 세상을 떠난 아내의 생전 사진과 영상, 장례식장, 산소 사진 등의 자료가 들어있었다. 고씨의 아내는 유방암 진단을 받고 투병 생활을 하다 2021년 10월 73세의 나이로 숨진 것으로 알려졌다. 한 누리꾼이 고씨가 붙인 벽보를 보고 안타까움을 느껴 이를 사회연결망서비스(SNS) 올렸고, 해당 사연을 접한 누리꾼들과 경찰의 도움으로 가방을 되찾을 수 있었다.

지하철서 물건 분실했다면, 위치와 시간 아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

앞선 고씨의 사례와 같이 지하철에서 물건을 잃어버렸다면 분실 위치와 시간을 아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해당 정보를 바탕으로 역 직원은 유실물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장소를 탐색해 물건을 찾을 수 있다. 교통카드로 지하철에 탑승했을 경우 직원에게 사용한 교통카드를 제시한다면, 각 역에서 승차, 하차한 시각을 바탕으로 탑승한 열차를 추정할 수 있다.

지하철이나 거리에서 물건을 유실했을 경우, 경찰청 통합 유실물 관리 웹사이트 'lost112'나 모바일 앱에서 물건을 검색해볼 수 있다. [사진출처=lost112 누리집]

만약 해당 물건을 지하철 유실물센터에서도 찾지 못했다면, 경찰청 통합 유실물 관리 웹사이트 'lost112'나 모바일 앱에서 물건을 검색해볼 수 있다. 역 직원은 지하철 내에서 습득한 모든 유실물 정보(물건 사진, 습득 장소 등)를 웹사이트에 기재·등록하기 때문에 물건을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다. 유실물을 발견했으니 찾아가라는 연락을 받았거나 lost112를 통해 자신이 잃어버린 물건을 발견했다면, 유실자 본인임을 증명할 수 있는 신분증을 소지하고 호선별로 위치한 지하철 유실물센터 4곳 중 하나를 방문하면 된다.

서울의 경우, 유실물센터가 위치한 역사(시청, 충무로, 왕십리, 태릉입구) 4곳에선 물품 보관함(T-Locker)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지하철이 다니는 시간이면 언제든지 직접 유실물을 찾아갈 수 있다.유실물을 물품 보관함에 보관하고 물건 주인에게 위치와 비밀번호를 전송하면, 유실물센터에 방문할 필요 없이 보관 비용을 지불하고 유실물을 찾아가는 방식이다.

유실물센터에 근무하는 직원은 "유실물은 전동차 의자 틈과 선반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에 하차하기 전 자신이 앉은 좌석과 선반 위를 한 번만 확인하더라도 유실물을 크게 줄일 수 있다"라고 말했다. 또 "휴대폰이나 지갑은 대부분 연락처를 찾을 수 있어 거의 100% 주인에게 돌려줄 수 있지만, 다른 물건은 연락처를 몰라 돌려주지 못하고 경찰로 넘기고 있는데 그때가 제일 안타깝다. 중요한 물건에는 명함을 끼워놓는 등 연락처를 남겨두면 큰 도움이 된다"라고 덧붙였다.

이슈2팀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