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광역의원들 '전남 국립의대' 신설 촉구

공동 성명서 발표…지역의사제 도입도 요구

광주광역시의원과 전남도의원들이 전남 국립의대 신설을 촉구했다.

이들은 14일 광주시의회에서 의료기본권 확보를 위해 전남에 국립의과대학 신설과 안정적 의료시스템 구축을 위한 지역의사제 도입에 대한 공동 성명서를 발표했다.

의원들은 “정부는 필수·공공의료 강화를 표방한 가운데 의대 정원을 2025년부터 늘리고 지역의대 신설 또한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면서 “18년 만에 동결됐던 의대 정원 확대 논의가 본격화된 것에 환영과 지지의 뜻을 표하며 의과대학 신설과 지역의사제 도입에 대한 350만 광주·전남 시도민의 열망에 반드시 답할 것이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러나 의대 없는 전남은 의대 정원 수요조사조차 참여하지 못하고 의대 신설은 요원한 과제로만 남아 시도민의 큰 아쉬움을 낳고 있다”며 “전남은 인구 1000명 당 의사 수가 2.6명으로 서울의 4.8명에 비해 절반 수준으로 턱없이 부족하다. 응급의학전문의 또한 인구 10만 명당 0.4명으로 전국 평균 1.2명에 크게 못 미치는 실정이다”고 설명했다.

또 “전남에는 의과대학 토대가 없어 20개 이상 진료과를 갖추고 고난도 중증 질환자를 치료하는 상급종합병원이 전무한 지극히 열악한 의료상황에 처해있다”면서 “이에 연간 83만명의 도민이 중증 응급, 외상 등 고난도 치료를 위해 타 시도로 원정 진료를 떠나고 있으며 유출되는 의료비용만 무려 1조 6000억 원에 달한다”고 주장했다.

더불어 “광주·전남지역 119구급대 재이송 건수는 지난 5년간 2600여 건으로 많고, 신생아 집중치료실은 4곳에 불과해 의사 1명이 병상 23.8개를 담당하고 있다”면서 “매번 반복되는 ‘응급실 뺑뺑이’와 한계에 치달은 소아과 의료대란은 광주?전남지역 필수의료 붕괴의 민낯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호남팀 호남취재본부 윤자민 기자 yjm3070@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