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창당 공식화 한 이낙연 '새로운 정치 대안 제시'..비명계도 우려

"지금은 정치 암흑기…국가 비전 제시해야"
비명계서도 우려…"서두른다" 지적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내년 1월 신당 창당을 공식화한 가운데 당내에서는 내년 총선을 앞두고 당내 분열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비명계 의원들조차 이 전 대표의 신당 창당 발표에 "당혹스럽다"는 표정이다. 그러나 이 전 대표는 "국민들께 희망을 드릴 수 있는 책임 있는 정치 그리고 유능한 국가를 만들겠다"면서 거대 양당 구조의 폐해를 '이낙연 신당'이라는 대안 정당을 통해 극복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 전 대표는 14일 오전 KBS라디오에 나와 "내년 1월 초 국민들께 '(신당 창당을) 이렇게 하고자 합니다'하는 보고를 드리게 될 것"이라면서 신당 창당 의지를 재차 밝혔다. 그는 윤석열 정부의 실정을 비판하는 동시에 민주당에도 "대안이 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신당을 만들 수밖에 없는 당위성에 초점을 맞춰 설명했다. 이 전 대표는 "지금의 정치적 절망, 정치 암흑기에는 민주당 책임도 상당 부분 있다"면서 "(이낙연 신당이 대안이 되려면) 국가 비전을 제시해야 될 것"이라고 말했다. 팬데믹 위기, 디지털 전환, 기후위기, 에너지 전환, 인구 위기 등 5대 위기에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 세력이 나와야 한다는 설명이다. 그러면서 "저도 작은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고 했다.

관건은 신당 창당에 함께 할 인물들을 모으는 일이다. 앞서 '제3지대' 신당을 창당한 양향자 의원 및 창당을 앞둔 금태섭 전 의원과의 연대를 묻는 질문에 "두 분은 만난 적이 있다. 뜻을 모을 수도 있겠다하는 여지를 발견했다"면서 연대 가능성을 열어놨다.

이재명 대표와의 회동, 이른바 '명낙회동'과 관련해서도 이 전 대표는 선을 그었다. 그는 "민주당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국민의 신뢰를 회복할 만한 의지가 확인된다면 언제든지 만나겠지만, 그게 아니라면 의미가 있겠는가"라고 말했다.

그러나 민주당 내부에서는 이 전 대표 신당을 놓고 총선 전 '분열'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낙연 신당으로 야권 표가 갈릴 경우, 여권에는 호재로 작용하기 때문에 내년 총선서 국민의힘에 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 전 대표는 "양당 모두 싫다는 분들에게 대안을 제시하려는 것이지 양당 좋다는 사람을 빼가자는 게 아니다"라면서 "내부 문제 개선은 안하고, 선택의 여지를 봉쇄하려는 것은 국민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하지만 비명계 의원들조차 이 전 대표의 신당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이 쏟아지는 상태다. 이날 이재명 대표와 각을 세우고 있는 비명계 모임 '원칙과 상식' 소속 의원들은 이 전 대표의 신당 선언에 "서두른다"면서 일단 거리를 뒀다. 이원욱 의원은 SBS라디오에서 "많이 당황스럽다. 숨 고르기가 필요한데 갑자기 링에 뛰어들어서 100m 질주하고 있는 것 같다"고 했고, 조응천 의원은 CBS라디오에 나와 "저희랑 무관하게 진행하고 계시는 것"이라며 "기호 3번 받는 것도 쉬울까 싶다"고 했다. 친문계인 윤건영 의원 역시 MBC라디오에서 "도시락 싸들고 다니며 말리고 싶은 심정"이라며 우려감을 나타냈다.

정치부 오주연 기자 moon170@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