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92% ESG 위원회 설치'…한경협, ESG 백서 발간

"많은 기업 자발적으로 ESG경영 추진 중"

한국경제인협회가 14일 ‘2023 K기업 ESG 백서’를 통해 국내 주요 기업들이 선제적, 자발적으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백서는 매출액(연결기준) 200대 기업 중 올해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한 162개 기업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분석하고, ESG 경영 모범사례를 담았다.

기업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분석 결과 전체 기업(162개사)의 92.0%가 이사회 내 ESG위원회를 설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ESG전담 조직과 별도로 유관부서가 함께 ESG 경영을 논의하는 전사적 ESG 협의체를 운영 중인 기업의 비중은 74.1% 였다. 기업에 중요한 ESG 이슈를 파악하고 적절한 ESG전략 수립을 위해 중대성 평가를 실시하는 기업도 96.3%나 됐다.

우리 기업이 직면한 ESG 이슈는 환경(E) 분야가 41%로 가장 많았다. 이어 사회(S, 37%), 경제·거버넌스(G, 22%) 순이었다. 분야별 세부 중요 이슈 분석 결과, 환경 분야에서는 ‘기후변화 대응 전략 수립(40.0%)’, 사회 분야에서는 ‘안전·보건 관리(34.6%)’, 거버넌스 분야에서는 ‘ESG거버넌스 구축·ESG경영 추진 (41.3%)’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이 경영지표에 ESG 요소를 적극 활용·반영하면서, 임직원·협력사에 ESG 마인드를 심어주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점도 드러났다 특히, 경영진 및 조직의 KPI(핵심성과지표)에 ESG 요소를 반영한 기업이 76.0%에 달했다.

백서는 ESG 관련 일부 성과가 드러나고 있다며 환경 분야 성과에 주목했다. 지난해 주요 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년 대비 2.1% 감소했고 재생에너지 사용 비율도 2021년 5.2%에서 2022년 7.3%로 2.1%p 증가했다. 조사 대상 중 RE100 가입 기업도 2020년 5개 기업에서 2023년 상반기 38개 기업으로 증가하는 등 기업들은 탄소중립을 위해 적극적 움직임을 보이고 있었다.

사회 분야에서도 의미있는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여성이사할당제가 시행(2022년 8월) 되고 조직문화에서 다양성·형평성·포용성을 중시하게 되면서, 주요 기업의 여성임원 비율은 2020년 5.0%, 2021년 5.6%, 2022년 7.5%로 2년 연속 증가했다. 한경협은 “우리나라는 아직 ESG공시나 ESG경영이 의무사항이 아니지만, 많은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ESG경영을 추진 중이고 의미있는 성과를 내고 있다”며, “한경협도 ESG 실천에 대한 지원과 시의성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산업IT부 박선미 기자 psm82@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