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소상공인 연체율 '가파른 상승세'

신용대출 연체율도 상승세 뚜렷
은행들은 다음달 소상공인 이자 경감방안 발표

서울 한 시중은행에 소상공인 담보대출 관련 안내문이 붙어 있다. 사진=강진형 기자aymsdream@

중소기업과 가계신용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 오름세가 가파르다.

2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9월말 중소기업 연체율은 0.49%였다 1년전보다 0.22% 오른 수치다. 중소기업 중에서도 중소법인 연체율은 0.52%로 1년전보다 0.19%포인트 상승했다.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은(0.46%)도 전년 같은 기간 대비 0.27%포인트 올랐다. 가계신용대출은 0.28%포인트 상승한 0.65%를 기록했다.

9월에 새로 발생한 연채채권 규모도 계속 높은 수준을 이어갔다. 9월 한달간 신규 연체 발생액은 2조2000억원이었다. 전달과 비슷한 주순이었다. 다만 분기 말에 은행들이 연체율 관리를 하면서 연체채권을 매각·상각해서 연체채권 정리 규모는 3조원에 달했다. 전달보다 1조6000억원 늘어난 규모다.

국내은행 전체 원화대출 연체율은 0.39%로 집계됐다. 1년전보다 0.18% 오른수치다. 금융당국은 "은행 연체율의 급격한 상승으로 자금공급 기능이 위축되지 않도록 연체,부실채권 정리 확대와 취약부문에 대해서는 충분한 대손충당금을 적립하도록 유도하고 있다"고 했다.

한편 8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NH농협·BNK·DGB·JB)는 연말까지 2조원 규모의 자영업자·소상공인 금리 인하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소상공인 은행 종노릇' 발언 이후, 금융당국이 금융권에 대책 마련을 요구했기 때문이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지난 20일 금융지주 회장들과 간담회 자리에서 "고금리를 부담하고 있는 자영업자·소상공인 등의 절박한 상황을 고려해 금융회사의 '건전성을 해치지 않는 최대한의 범위' 내에서 코로나 종료 이후 높아진 '금리부담의 일정 수준'을 '직접적으로 낮춰줄 수 있는, 체감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달라"고 했다.

이에 따라 8대 금융지주는 전국은행연합회 주도로 태스크포스(TF)를 꾸려 대책을 마련하고 있는 중이다.

경제금융부 심나영 기자 sn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