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약 열기 어디로…아파트 분양 전망지수 3개월 연속 하락

아파트 분양 전망지수가 3개월 연속 하락세다. 최근 고금리 여파로 아파트 매매량이 감소하고 가격 상승 폭도 줄어들면서 분양 시장에 대한 기대감이 꺼지는 모습이다.

7일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에 따르면 11월 아파트 분양 전망지수는 전월보다 13.4포인트 떨어진 70.4로 집계됐다. 이로써 이 지수는 지난 9월부터 석 달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아파트 분양 전망 지수는 공급자 입장에서 분양을 앞뒀거나 분양 중인 단지의 여건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지표로, 100을 넘으면 시장 전망을 긍정적으로 보는 회원사가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하며 100 아래면 그와 반대 상황을 나타낸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이 지난달 기준선인 100.0에서 이달 92.5로 내려서며 7.5포인트 하락했다. 인천(103.6→85.7)과 경기(102.6→97.2) 역시 기준선 아래로 밀려나며 수도권 평균 지수는 10.2포인트 하락한 91.8을 기록했다.

주산연 관계자는 "최근 수도권의 아파트 매매량이 감소하고 매매 가격 상승 폭도 줄어들면서 수도권 분양 시장에 대한 기대감마저 주춤하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지방 광역시는 지난달 95.9에서 이달 77.1로 18.8포인트 하락했다. 대구가 107.4에서 77.3으로 30.1포인트 내려 낙폭이 특히 컸고 광주(90.0→75.0), 대전(89.5→76.5), 부산(96.3→85.7), 울산(80.0→71.4) 등도 모두 내렸다.

이 외에도 세종(112.5→76.9), 전남(81.3→57.1), 강원(66.7→45.5) 등이 줄줄이 약세를 보이는 등 충남(56.3→64.3)을 제외한 전국의 지수가 하락 일변도를 보였다.

주산연 관계자는 "금리 급상승 등에 따라 시장 변동성이 커지고 수요자들의 아파트 가격 민감도가 높아진 상황에서 주택 사업자들의 부담도 확대돼 당분간 분양 사업은 어려운 상황이 유지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올해 들어 인허가와 착공, 분양 물량이 모두 감소세를 보여 향후 원활한 수급 조절을 위해 아파트 분양시장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11월 분양 가격 전망지수는 전월보다 1.9포인트 하락한 106.7을 기록했으나, 지난 5월 이후 꾸준히 기준선을 웃돌고 있다.

주산연은 "연초 부동산 정책 완화에 따른 대규모 규제지역 해제와 기본형 건축비 인상 등으로 당분간 분양가 상승세는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분양 물량 전망지수는 96.6으로 전월보다 0.5포인트 내렸다. 미분양 물량 전망지수는 96.7로 11.0포인트 상승했지만, 지난 5월 이후 기준선을 밑도는 상황을 지속했다.

주산연은 "이달 대구, 세종, 경남, 전남, 제주에서는 분양 계획 물량이 없고 대부분의 분양 물량이 수도권에 치중되는 쏠림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미분양 물량은 감소하고 있지만 준공 후 미분양이 소폭 증가했고 지방의 미분양 누적이 지속하는 만큼 미분양 물량의 지역 분포와 공급 추이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건설부동산부 임온유 기자 io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