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롯데 3세' 신유열, 한일 경영 전면에…신동주의 亂 또 실패(종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9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한일 롯데 경영 승계 본격화
신동주, 경영 복귀 시도 무산
"신유열 이사 선임 시대 역행"

신동빈 롯데 회장의 장남 신유열 전무가 일본 롯데홀딩스 사내이사로 선임됐다. 한일 롯데 경영 승계 작업이 본격화됐다는 해석이 나온다.


26일 재계와 유통업계에 따르면 일본 롯데홀딩스는 이날 도쿄에서 정기 주주총회를 열고 신 전무의 사내 이사 선임안을 통과시켰다. 롯데홀딩스 관계자는 "롯데파이낸셜 대표로서 금융시장에 대한 조예가 깊고, 롯데홀딩스 경영전략실을 담당하는 등 회사 경영 전반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풍부하다"고 설명했다.


'롯데 3세' 신유열, 한일 경영 전면에…신동주의 亂 또 실패(종합) 신유열 전무
AD

2020년 롯데홀딩스 부장으로 입사한 신 전무는 2022년 일본 롯데 계열사인 롯데스트레티직인베스트먼트 대표를, 지난해엔 롯데파이낸셜 대표로 일했다. 지난 3월엔 처음으로 한국 롯데 계열사인 롯데바이오로직스 사내 이사로 선임됐다. 이번에 일본 롯데홀딩스 사내이사로 이름을 올리면서 한일 롯데 지주사 모두에 이름을 올리게 됐다.


재계에선 신 전무가 롯데홀딩스 사내이사에 오르며 경영권 승계 작업을 본격화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사내이사는 회사의 중요 안건을 결정하는 이사회에 참가한다. 이는 '경영 수업'을 받는 신 전무가 한일 그룹 경영에 본격적으로 참여한다는 의미다. 앞서 신 전무는 이달 초 롯데지주 지분 0.01%(주식 7000여주)를 확보해 주주 명단에 처음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롯데 지배구조는 광윤사→롯데홀딩스→호텔롯데→롯데지주 등으로 연결된다. 신동빈 회장이 최대주주인 롯데지주가 출범하면서 롯데 지배구조에서 일본 롯데 영향력은 줄었지만, 그룹의 숙원사업인 호텔롯데 상장 등을 고려하며 일본 롯데의 지배력을 강화해야 한다. 신동빈 회장은 한일 통합경영 체제인 '원 롯데'(One LOTTE·하나의 롯데) 전략을 추진해왔다. 일본 롯데홀딩스 이사회에 합류한 신 전무가 이를 이어받는 셈이다.


'롯데 3세' 신유열, 한일 경영 전면에…신동주의 亂 또 실패(종합) 신동주 SDJ코퍼레이션 회장./강진형 기자aymsdream@

이날 주총에서 신동빈 회장의 형인 신동주 SDJ코퍼레이션 회장의 이사 선임 안건은 부결됐다. 앞서 신동주 회장은 2015년 1월 한일 롯데 지주회사인 롯데홀딩스 부회장직에서 전격 해임됐고, 같은 해 7월27일 고(故) 신격호 총괄회장을 앞세워 동생 신동빈 회장을 롯데홀딩스 이사에서 해임하면서 경영권 탈환에 나섰지만, 실패했다. 이후 올해까지 롯데홀딩스 주총에서 10차례에 걸쳐 신동빈 이사의 해임과 자신의 이사직 복귀를 시도했지만, 번번이 무산됐다.



신동주 회장은 이날 주총 뒤 "능력이 전혀 검증 안 된 신유열의 이사 선임은 시대를 역행하는 것"이라며 "주총 결과와 상관없이 앞으로도 롯데홀딩스 최대주주로서 위기 상황을 탈피하고,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한일 롯데그룹 경영체제 쇄신에 대한 요구를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조성필 기자 gatozz@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