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나은 내일을 위한 초거대 AI'…제7회 '삼성 AI포럼'

인공지능·컴퓨터공학 분야 전문가 참석

초거대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차세대 반도체가 나아갈 방향과 그간의 연구 성과를 논의하는 자리가 열렸다.

경계현 삼성전자 대표이사 사장이 7일 오전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삼성 AI 포럼'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삼성전자는 7일 경기도 수원시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제7회 '삼성 AI 포럼 2023'을 개최했다. 삼성 AI 포럼은 AI와 컴퓨터 공학(CE) 분야 세계 석학과 전문가들이 모여 최신 연구 동향을 공유하고 미래 혁신 전략을 모색하는 기술 교류의 장이다. 올해는 학생들까지 포함해 총 1000여명이 행사에 참석했다.

경계현 삼성전자 사장은 이날 개회사를 통해 "생성형 AI 기술이 인류가 직면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혁신적인 수단으로 급부상하고 있다"며 "기술의 안전과 신뢰, 지속가능성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고 말했다.

요슈아 벤지오 교수·짐 켈러 CEO 기조 강연 진행

올해 포럼 주제는 '더 나은 내일을 위한 초거대 AI'다. 초거대 AI는 대규모 AI 시스템으로 방대한 양의 데이터와 작업을 처리하는 것이 특징이다. 반도체 업계는 초거대 AI로 인해 컴퓨팅 처리량이 기하급수적으로 늘면서 기존과는 차원이 다른 고성능, 고용량, 저전력 반도체가 요구될 것으로 보고 있다.

강연자와 참석자들은 이같은 과제가 주어진 상황에서 차세대 반도체 연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AI, CE 기술 연구 성과와 향후 발전 방향을 논의했다. AI 분야 글로벌 석학인 요슈아 벤지오 캐나다 몬트리올대 교수와 캐나다 AI 반도체 스타트업 텐스토렌트의 짐 켈러 최고경영자는 기조 강연을 맡았다.

'안전한 AI 연구자 시스템을 향해'라는 주제로 강연을 한 요슈아 벤지오 교수는 거대언어모델(LLM) 기반으로 발전하는 AI 기술 결과가 연구자 개발 의도와 일치하지 않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한 AI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소개했다.

짐 켈러 CEO는 '자신만의 실리콘을 소유하라'는 주제로 차세대 반도체 설계 혁신을 통한 AI 기술 한계 극복 방안을 제시했다. 개방형 하드웨어 설계자산(RISC-V) 기반 하드웨어 구조 설계 혁신을 통한 차세대 AI의 새로운 가능성을 강조했다.

삼성전자 SAIT, AI 활용과 그에 따른 반도체 미래 변화 조망

삼성전자 원천 기술 연구 조직인 SAIT(구 종합기술원)는 'LLM과 산업용 AI의 변화', 'LLM과 시뮬레이션을 위한 초거대 컴퓨팅'을 주제로 AI·CE 분야 세부 세션을 진행했다. 각 세션에서는 글로벌 석학과 전문가뿐 아니라 삼성전자 SAIT AI연구센터와 시스템 연구센터의 연구 리더들이 강연을 했다.

삼성전자 SAIT 연구 리더들은 AI 분야에서 반도체 개발 전반에 걸친 LLM 등의 AI 활용 계획과 이를 통한 반도체 미래 변화를 조망했다. CE 분야에서는 AI를 활용한 공정 시뮬레이션 등 미래 컴퓨팅 발전 가능성을 논의했다.

삼성전자 SAIT는 이날 AI 분야 글로벌 우수 신진 연구자를 발굴하는 '삼성 AI 연구자상'과 국내 AI 인력 육성을 위해 진행한 '삼성 AI·CE 챌린지' 수상자도 발표했다.

삼성 AI 연구자상에는 제이슨 리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교수 등 5명이 선정됐다. 제이슨 리 교수는 딥러닝과 강화학습, 최적화 등 AI 분야 이론과 응용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해당 분야에서 우수 논문을 다수 게재해 세계 AI 연구 발전에 기여해 높은 평가를 받았다. 410개 팀(1481명 학생)이 참여한 삼성 AI·CE 챌린지에서선 총 16개 팀이 수상했다.

산업IT부 김평화 기자 peac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