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돈잔치 얼마나'…성과급·퇴직금 31일 낱낱이 공개

국내 은행권 연일 사상 최대 실적
18개 은행 지난해 기준 '은행 경영현황 공개 보고서' 제출
은행연합회에서 31일 공개

국내 은행권이 연일 사상 최대 실적을 쓰고 있는 가운데 주요 시중은행과 지방은행, 인터넷은행들의 임직원 성과급, 희망 퇴직금, 배당현황 등이 31일 낱낱이 공개된다. 은행이 무슨 일을 하는지, 어떻게 수익을 내며 발생한 수익을 어디에 활용하는지도 보여준다.

금융업계에 따르면 전국은행연합회는 31일 '은행 경영현황 공개 보고서'를 공개한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은행연합회 회원 은행 중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을 제외한 18개 은행 전부 보고서를 낸다"고 밝혔다. 이번에 작성될 내용은 지난해 경영현황을 바탕으로 한다. 올해 이후 경영현황에 대해선 내년 4월 말까지 작성해 발표하도록 했다.

보고서에는 은행 총자산과 영업점, 직원 수 같은 은행 개요를 기본으로 자산부채, 수익·비용, 당기순이익 활용 내용이 포함된다. 특히 수익비용 항목에 예대금리차를 포함한 이자 이익과 수수료 이익, 성과급과 희망 퇴직금을 포함한 급여, 사회공헌 실적, 충당금 등을 명시해야 한다. 당기순이익 항목에는 자본적립과 배당현황이 포함된다.

이는 지난 7월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주도한 '은행권 경영 영업관행 제도개선 방안' 태스크포스(TF)가 발표한 내용에 따른 것이다.

당시 TF는 단기실적에 치중한 '성과급 잔치'를 막기 위해서 금융권 임원의 성과급을 연기해 지급하는 최소 비율을 기존 40%에서 50%로 확대하도록 했다. 이연 기간도 원래 3년이었는데 5년으로 늘렸다. 또한 개별 등기임원의 보수지급계획을 주주총회에서 설명하도록 하고, 개별 임원의 보수지급액 공시도 강화하기로 했다.

올해 초 윤석열 대통령의 '은행 돈 잔치' 발언 이후 곤혹을 치렀던 은행들은 내일 발표를 앞두고 긴장하고 있다. 주요 시중은행은 올해 3분기에도 호실적을 기록했다. 우리은행을 제외한 KB국민·신한·하나은행은 순이익을 늘리면서 성장세를 이어갔다. 특히 은행들은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억제 정책 속에서 기업 대출을 중심으로 막대한 이자 이익을 거두면서 호실적을 이어갔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당기순이익은 3분기 누적 기준 10조5107억원에 달했다. 이는 전년 동기(9조7604억원) 대비 7.7% 성장한 수치다. 은행별로 살펴보면 3분기 누적 기준 KB국민은행은 전년 대비 12% 증가한 2조8554억원을 거뒀다. 하나은행은 23.3% 성장한 2조7664억원, 신한은행은 0.3% 늘어난 2조5991억원을 기록했다. 우리은행만 누적 순이익이 2조2898억원으로 전년 대비 3.5% 감소했다.

경제금융부 심나영 기자 sn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