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통제 현주소][단독]①'하나·국민銀' '대구·광주銀' 의무휴가·순환인사 성적 저조

4대 시중·6개 지방銀 내부통제 방안 운영실태
'은행권 내부통제 혁신안' 내년 본격 시행
목표치 달성 서둘러야

금융당국의 ‘은행 내부통제 혁신안’에 포함된 의무명령휴가, 장기근무자 순환인사 제도가 하나은행과 국민은행에서 미흡하게 운영되고 있는 걸로 나타났다. 지방은행 중에서는 대구은행(의무명령휴가제)과 광주은행(장기근무자 순환인사)이 가장 부진했다.

'불시' 의무휴가, 하나<국민<신한<우리 순

21일 아시아경제가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희곤 국민의힘 의원실을 통해 입수한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과 6개 지방은행의 의무명령휴가 대상 직원 및 장기근무자 현황’ 자료에 따르면, 하나은행의 올해 7월 기준 의무명령휴가 대상 직원 비중은 42.5%(전체 1만1675명 중 4962명)로 4대 시중은행 중에서 가장 낮았다. 이어 국민은행 45.7%(1만6342명 중 7469명), 신한은행 52.8%(1만3341명 중 6912명), 우리은행 82%(1만3677명 중 1만1222명) 순이었다.

의무명령휴가제는 영업점과 본부부서의 장기근무·위험직무 직원을 대상으로 불시에 휴가를 보내 부정행위가 없었는지 들여다보는 내부통제 방안이다. 대상 직원 비중이 높을수록 더 많은 직원이 사고 행위 없이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지 관리되고 있다는 의미다. 금융당국은 최근 몇 년간 은행권 횡령 사건의 심각성을 고려해, 내부통제 혁신안 시행 시기를 기존 2025년에서 내년으로 앞당겼다.

6개 지방은행을 살펴보면 대구은행이 45%(3135명 중 1423명)로 가장 낮았다. 전북은행 46.4%(1165명 중 540명), 광주은행 50%(1627명 중 814명), 제주은행 57.2%(437명 중 250명), 경남은행 61%(2227명 중 1350명), 부산은행 60%(2469명 중 1638명) 순으로 나타났다.

동일 업무 장기근무자 비중, 하나>국민>신한>우리

혁신안에 포함된 ‘장기근무자 순환인사’에서도 하나은행이 가장 저조한 결과를 보였다. 올해 7월 기준 전체 직원의 6%(702명)가 동일 부서(업무) 장기근무자(영업점 3년·본부 5년 이상)였다. 이어 국민은행 5.15%(842명), 신한은행 0.39%(52명), 우리은행 0.04%(6명) 순이었다.

이 중에서도 하나은행과 국민은행은 혁신안 장기근무 직원 비중 목표치인 5%를 넘어 상황이 급하다. 두 은행은 내년까지 순환인사를 통해 장기근무 직원을 100명가량 더 줄여야 한다.

지방은행 중에선 대구은행이 5%(158명)로 가장 높았고 제주은행 3.2%(14명), 광주은행 3.01%(49명), 전북은행 2%(22명), 부산은행 1.15%(29명), 경남은행 0.54%(12명) 순으로 나타났다.

경제금융부 권현지 기자 hjk@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