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만보 하루천자]구청에서 만든 치매앱 뭐가 다르지?

‘내손에 치매안심주치의’라는 애플리케이션(앱)은 실시간으로 치매안심주치의로 지정된 성동구 내 의료기관 정보를 모바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왕십리, 금호, 마장, 성수 등 4개 권역별 병·의원 정보뿐 아니라 전화 연결까지 제공한다. 또 구글 지도와 연계해 내 위치에서 병원까지 가는 경로도 검색할 수 있다. 이 앱은 안드로이드용 스마트폰에서 이용 가능하며,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치매 대상자 지원 서비스 및 협약 의료기관 연계 관련 문의는 성동구치매안심센터로 하면 된다.

성동구에서 4월부터 7월까지 진행한 찾아가는 치매검진 [사진제공=성동구]

‘치매안심주치의’는 2019년부터 서울 성동구 내 가까운 지역 병원과 연계해 치매 조기발견과 지속적인 치료 및 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협약된 성동구 의료기관으로 현재 29개 병·의원과 협약을 맺고 있다. 성동구 치매안심센터는 그동안 ‘치매안심주치의’를 치매환자와 가족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지를 제작했으나 정보화 시대에 발맞춰 스마트폰 앱 개발에 나선 것이다. 성동구는 지난 4월 한양대학교와 앱 개발 및 유지보수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해 상호협력이 필요한 사업에 공동참여하기로 했다.

성동구 내손에 치매안심주치의 앱 화면

성동구는 지역사회 중심으로 치매 예방과 치료관리 등에 주력해왔다. 앞서 지난 4월부터 7월까지 석달간 동 주민센터 순회 치매검진프로그램인 ‘2023 찾아가는 인지상담소’를 운영했다. 거주지와 가까운 동 주민센터를 거점으로 인지선별검사, 신경심리검사 및 전문의 진료 등을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치매조기검진 서비스로 만 60세 이상 지역주민이라면 누구나 무료로 참여할 수 있다. 성동구 치매안심센터는 원격진료, 맞춤형 사례관리, 치매환자 및 가족지원사업, 치매인식 개선사업, 치매안심마을 운영 등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다양한 맞춤형 치매통합관리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신경과학회 연구논문 등재로 효과성이 검증된 ‘성동 이음-기억을 잇다’ 치매예방 책자의 개정판을 발간해 지역사회 확산도 추진하고 있다.

성동구는 무학봉근린공원(사진)과 응봉근린공원에 웰빙 황토길을 조성했다 [사진제공=성동구]

아울러 황톳길을 걷고 싶다는 주민들의 의견을 들어 응봉근린공원(대현산)에 45m의 순환형 황톳길과 무학봉근린공원에 25m의 황톳길을 조성했다. 신발 보관함과 세족장도 함께 설치해 맨발로 걸은 후 발을 씻을 수 있도록 했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도심과 가까운 공원에서 누구나 부담 없이 찾아 생활 속에서 힐링의 시간을 가졌으면 한다."며 "황톳길 맨발걷기를 통해 주민들이 건강한 일상을 보내길 바란다"고 말했다.

바이오중기벤처부 이경호 기자 gungh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