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36%만 '결혼 긍정적'…여 28%, 남 43%

10년 전 비해 20%포인트 하락
이유로 '결혼자금 부족' 가장 많아

청년 3명 중 1명만 결혼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 절반 이상은 결혼을 하더라도 자녀를 낳을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다.

28일 통계청은 발표한 '사회조사로 살펴본 청년의 의식변화'에 따르면, 결혼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청년은 지난해 5월 기준 36.4%에 불과했다. 이는 10년 전인 2012년(56.5%)보다 20.1%포인트 감소한 수치다. 특히 전체 인구 중 결혼에 긍정적인 인구 비율(50.0%)보다 13.6%포인트 낮은 것이다.

결혼에 긍정적인 청년의 비중은 여자 28.0%, 남자 43.8%로 각각 10년 전보다 각각 18.9%포인트, 22.3%포인트 낮아졌다. 연령별로 보면 19∼24세는 34.0%, 25∼29세는 36.1%, 30∼34세는 39.2% 등이다.

청년들은 '결혼하지 않는 주된 이유'로 결혼자금 부족(33.7%)을 가장 많이 꼽았다. '결혼 필요성을 못 느낌'(17.3%), '출산·양육 부담'(11.0%), '고용 상태 불안정'(10.2%), '결혼 상대 못 만남'(9.7%) 등이 뒤를 이었다. 결혼 자금 부족을 이유로 선택한 이들의 비중은 여성(26.4%)보다 남성(40.9%)에서 높았다.

남녀가 결혼하지 않더라도 함께 살 수 있다고 생각하는 청년은 80.9%에 달했다. 10년 전보다 19.1%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청년의 53.5%는 결혼하더라도 자녀를 가지지 않아도 된다고 응답했다. 이 비율은 2018년 46.4%, 2020년 50.5%에 이어 꾸준히 높아졌다.

자신과 부모와의 관계에 만족한다고 응답한 청년과 전반적인 가족관계에 만족한다고 대답한 청년에서는 '결혼 후 자녀를 가져야 한다'고 응답한 비중이 각각 57.6%, 57.1%로 전체 청년 집단(46.5%)보다 높았다.

이유가 있으면 이혼하는 게 좋다고 생각하는 청년 비중은 24.1%로 10년 전보다 11%포인트 올랐다.

국제결혼에 대해서는 청년의 83.3%가 긍정적인 응답을 내놓았다. 10년 전과 비교하면 9.5%포인트 상승했다.

가족이 부모님의 노후를 책임져야 한다는 응답은 20.6%로 10년 전보다 12.6%포인트 줄었다. 60.7%는 가족·사회·정부가 함께 부모님의 노후를 책임져야 한다고 생각했고, 15.0%는 부모님이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고 답변했다.

청년들이 직업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2021년 기준)은 수입(35.8%), 안정성(22.1%), 적성·흥미(19.1%), 근무 환경(9.8%) 순이었다. 선호 직장은 2011년에는 국가기관(27.7%), 대기업(19.6%), 공기업(19.3%) 순이었으나 2021년에는 공기업(23.2%), 국가기관(20.8%), 대기업(20.2%)으로 바뀌었다.

청년들은 남녀 모두 육아 부담(46.3%)을 여성 취업의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여겼다. 다음은 사회적 편견(18.5%), 불평등한 근로 여건(13.8%) 순이었다. 여성이 출산·자녀 성장과 상관 없이 계속 취업 상태를 유지하기를 원한 청년은 74.0%로 10년 전(53.2%)보다 20.8%포인트 많아졌다.

세종중부취재본부 세종=이은주 기자 golde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