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고진 사망 공식화에 흔들리는 바그너그룹…해산놓고 고심

병사들에 충성 서약 요구
해산·유지 놓고 의견 분분

러시아 당국이 바그너그룹의 수장인 예브게니 프리고진의 사망을 공식 확인했다고 발표하면서 향후 바그너그룹의 미래를 놓고 러시아 안팎에서 논란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러시아 내에서도 군사반란의 주체였던 조직을 존속시켜선 안된다는 주장과 바그너그룹이 가진 해외 이권 등을 보호하기 위해 유지해야한다는 주장이 팽팽히 맞서면서 앞으로 러시아 정부가 어떤 선택을 하게 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27일(현지시간) 타스통신에 따르면 이날 러시아 연방 수사위원회는 지난 23일 추락한 프리고진의 전용기에서 수습된 시신 8구의 유전자 정보가 탑승자 명단과 일치한다고 발표했다. 이에따라 프리고진과 함께 바그너그룹의 창립멤버 중 한명인 드미트리 우트킨 등 바그너그룹 주요 수장들의 사망이 공식 확인됐다.

러시아 수사 당국은 사고현장에서 블랙박스도 수거해 분석하면서 사고 원인 규명에 집중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주요 핵심 수장을 잃은 바그너그룹을 놓고 해산, 혹은 러시아군으로의 흡수 등 다양한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바그너그룹측은 아직 결정된 것이 아무것도 없다는 입장이다.

러시아 당국도 아직 바그너그룹을 놓고 특별한 움직임을 보이진 않고 있다. 다만 프리고진의 죽음을 이유로 또다른 군사반란 발생은 경계하고 있다. 타스통신에 따르면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군사 임무수행에 기여하는 이들이 의무적으로 국가에 대한 충성 맹세를 하도록 하는 대통령령에 서명했다. 충성 맹세를 할 대상에 '자원봉사 조직 구성원'으로 정해 정규군은 물론 모든 용병기업에 소속된 용병들도 대상에 포함됐다. 이는 일단 바그너그룹의 섣부른 행동에 나서지 않도록 통제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러시아 안팎에서도 바그너그룹의 해산과 유지를 둘러싸고 논쟁이 지속되는 가운데 푸틴 정권 입장에서 바그너그룹을 손쉽게 해체하긴 어려울 것이란 분석도 나오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바그너그룹은 연간 2억9000만달러(약 3848억원) 규모의 금을 채굴할 수 있는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내 최대 금광의 소유권 등 아프리카와 중동 각지에서 많은 이권들을 갖고 있다.

또한 우크라이나와 중동, 아프리카 등 전세계 12개국에 여전히 수만명의 용병들이 활동하고 있어 이들을 단기간에 해산시키는 것도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푸틴 대통령이 바그너그룹 용병부대를 러시아군에 흡수하거나 다른 정부 인사를 프리고진 자리에 앉혀 친위부대로 재편성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국제2팀 이현우 기자 knos84@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