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스타 팹리스' 20개사 선정·집중 육성

시제품 제작·금융·마케팅 등 지원

정부가 반도체 설계 전문 기업(팹리스) 20개사를 선정해 집중 육성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8일 경기기업성장센터에서 '글로벌 스타 팹리스'로 선정된 20개사 대표 및 유관 기관들이 참석한 가운데 글로벌 스타 팹리스 출범식을 개최했다.

글로벌 스타 팹리스 프로젝트는 국내 팹리스를 글로벌 상위권으로 육성하기 위한 장기 프로젝트다. 산업부는 공고와 전문가 평가를 거쳐 이 프로젝트에 참여할 스타 팹리스 20개사를 선정했다.

정부는 핵심 기술 보유 여부 및 파급력, 성장 전략, 경영 철학, 전문 인력 보유 수준 등을 평가해 성장 잠재력이 높은 7년 이상 연혁의 '글로벌 스타 팹리스' 10곳(어보브반도체·쓰리에이로직스·포인투테크놀로지·하이딥·에이디테크놀로지·칩스앤미디어·제주반도체·파두·동운아나텍·픽셀플러스)을 확정했다. 또 우수 기술을 보유한 연혁 7년 미만의 '라이징 스타 팹리스' 10곳(모빌린트·수퍼게이트·사피엔반도체·오픈엣지테크놀로지·퀄리타스반도체·이엠코어텍·테크위드유·파워엘에스아이·솔리드뷰·해치텍)도 선정했다.

정부는 이들 기업에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한편, ▲멀티프로젝트웨이퍼(MPW) 등 시제품 제작 ▲금융 ▲국내외 마케팅 ▲설계인력 육성 등에서 우대 기준을 적용할 예정이다. MPW란 팹리스의 연구개발과 반도체 시제품 설계를 지원하는 웨이퍼를 의미한다.

이날 행사에서는 글로벌 스타팹리스 출범식 외에도 수요 연계 시스템반도체 기술개발을 진행 중인 별도의 4개 컨소시엄 기업들도 참석해 공급기업-수요기업 간 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컨소시엄 내 공급기업은 향후 3년간 각각 컨소시엄에 속한 수요기업이 제시하는 기술 수준을 충족하는 반도체 제품 상용화를 목표로 기술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반도체 설계 분야는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와 함께 시스템반도체 시장의 양대 축으로 꼽힌다. 하지만 진입장벽이 높아 세계 상위 30위권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 점유율의 약 90%(2022년 기준)를 차지하고 있다.

정부는 팹리스 성장과 자립을 촉진하기 위해 지난 6월 3000억원 규모의 반도체 생태계 펀드를 출범하는 한편 파운드리와의 연계 강화를 위해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도 조성중이다. 주영준 산업정책실장은 "유망 팹리스에 다양한 정부 지원책을 제공해 글로벌 상위권 팹리스를 배출하고, 수요연계 기술개발 지원을 통해 팹리스 기업에 신제품 개발 기회를 제공하는 동시에 전방산업을 고도화하는 계기를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산업IT부 강희종 기자 mindl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