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 '국제결제망 재가입 등 요구사항 들어주면 곡물협정 복귀'

곡물협정 파기 탓 서방에 돌려
5대 핵심 요구사안 들이밀며 압박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 러시아 대통령이 흑해곡물협정 파기와 관련해 모든 것이 서방의 탓이라며 직접 맹비난에 나섰다. 이와함께 국제결제시스템 복귀 등 5대 핵심 요구사안을 서방에 제시하며 요구사안이 수용되면 곧바로 협정에 복귀하겠다고 압박했다.

러시아군은 협정 파기 이후 우크라이나의 주요 곡물 수출항구에 대한 공습을 이어나가는 가운데 국제 곡물가격이 급등세를 보이면서 식량위기 우려가 한층 커지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19일(현지시간) 타스통신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이날 크렘린궁에서 주재한 화상 국무회의에서 흑해곡물협정을 직접 언급하며 서방을 맹비난했다. 푸틴 대통령은 "애초 협정은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체결됐지만 서방은 협정의 본질을 왜곡하고 이를 정치적 협박에 사용하며 세계 곡물시장에서 다국적 기업들과 투기꾼들의 배만 불리는데 악용했다"고 강도높게 비판했다.

이어 "협정이 발효된 지난 1년간 3280만톤(t)의 우크라이나산 곡물이 흑해 항로를 통해 수출됐지만 이중 최빈국에 지원된 물량은 3% 미만에 불과하다"며 "러시아는 최빈국 비료 지원을 위해 26만2000톤을 수출했지만 대러 제재로 대부분이 유럽 항구에 발이 묶였다"고 강조했다.

이와함께 푸틴 대통령은 "러시아가 원하는 5가지 핵심 요구사항을 서방이 이행하면 즉시 협정에 복귀할 것"이라고 밝혔다. 푸틴 대통령이 제시한 5대 핵심 요구사안은 ▲러시아농업은행의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 결제망 재가입 ▲농기계와 예비부품의 대러수출 제재 철회 ▲러시아 선박과 화물에 대한 보험가입과 입항제한 해제 ▲비료수출용 암모니아 수송관의 우크라이나 구간 복원 ▲러시아 비료기업에 대한 계좌동결 해제 등이다. 결국 곡물협정을 대러제재 완화를 위한 압박카드로 사용하곘다는 것이다.

러시아군도 흑해 주요 곡물수출항에 대한 공세를 강화하며 우크라이나와 서방을 압박하고 나섰다. 흑해 연안의 오데사, 헤르손, 미콜라이우 등 핵심 곡물수출항은 러시아의 곡물협정 탈퇴 이후 이틀 연속 러시아군의 무인기(드론), 순항미사일 등의 공습을 받았다.

흑해 주요 항구들의 피해가 이어지면서 국제곡물가격도 급등하고 있다. 국제 밀가격 주요 지표인 미국 소맥 선물 9월물의 가격은 전장대비 8.5% 급등한 부셸당 727.75센트를 기록했다.

국제2팀 이현우 기자 knos84@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