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친환경차 수입 1위 한국이라는데…

산업연구원 자동차 수출구조 변화·과제 보고서
올해 1분기 한국산 친환경차 21억달러 수입
日·獨·加 제치고 최다 수입국
IRA·핵심원자재법 등 공급망 재구축 기류
모빌리티 서비스·상용 전동화 등 지원해야

주요 나라마다 자국 내 전기차 공급망 구축 의지를 밝힌 데다 업체 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우리 수출 주력 분야인 자동차 산업이 위협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신흥시장으로 판로를 넓히는 한편 모빌리티 서비스, 상용차 전동화 등 그간 상대적으로 세밀하게 살피지 못했던 분야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송명구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이 10일 낸 ‘자동차 수출구조 변화와 향후 과제’ 보고서를 보면, 우리나라의 최근 자동차 수출이 늘어난 건 친환경차 판매가 늘어난 영향이 크다. 2017년까지만 해도 우리나라 자동차 수출액 388억달러 가운데 내연기관이 352억달러로 90%를 넘었다. 하이브리드나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전기차를 모두 합해도 9.3% 수준에 불과했다.

기아 화성공장에서 생산중인 전용전기차 EV6<사진제공:현대차그룹>

이후 친환경차 비중이 꾸준히 늘어 지난해 31.1%를 차지했다. 올해 1분기 들어서는 37.1%까지 치솟았다. 우리나라가 수출하는 자동차 10대 가운데 4대 가까이가 친환경차라는 얘기다. 최근 5년간 수출액의 연평균 증가율로 보면 내연기관은 0.2%로 사실상 제자리인 반면 친환경차는 모두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였다. 특히 전기차는 해마다 80% 이상 수출액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최대 수출국으로 부상한 미국에서 제품 경쟁력을 인정받은 결과다. 미국의 친환경차 교역 결과를 따져보니 올해 1분기 기준 미국이 친환경차를 수입하는 나라 가운데 우리나라가 제일 많았다. 미국은 이 기간 우리나라로부터 21억달러어치를 수입했다.

일본이 19억달러, 독일이 15억달러, 캐나다가 12억달러로 뒤를 이었다. 우리나라는 미국의 친환경 수입국 기준으로 앞서 2020년 4위였다가 이듬해 2위, 지난해부터는 1위로 떠올랐다. 보고서는 현지 시장조사기관의 조사 결과를 인용하며 "(미국에서) 우리나라 자동차에 대한 만족도가 2019년 대비 크게 높아졌고 시장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자료출처:산업연구원>

대미 자동차 교역이 순항하는 듯 보이지만 마냥 안심할 수는 없는 처지다. 보고서는 "주요국마다 자국 중심의 공급망 개편 전략과 전기차 시장 경쟁 심화는 우리 자동차산업의 위협 요인"이라며 "특히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유럽의 기후중립산업법·핵심원자재법 등은 향후 배터리와 전기차 생산거점 변화를 가져올 수 있어 우리나라 전기차 수출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분석했다.

글로벌 친환경차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출시장을 다변화하는 한편 정부와 기업 등 민관 협력체계를 공고히 하는 한편 완성차 업체와 배터리 업체 간 협력도 늘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호주·인도네시아 등 배터리 소재 생산국가와도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고 봤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021년 미국 GM의 전기 픽업트럭 허머EV를 생산하는 팩토리제로 공장을 찾아 둘러보고 있다.<사진출처:연합뉴스, 로이터>

나아가 중장기 경쟁력을 위해 상용차 부문 전동화를 위한 정책도 필요하다고 연구원은 진단했다. 상용차는 전체 자동차 가운데 차지하는 비중은 적지만 배출가스가 많아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전동화 전환이 시급한 분야로 꼽힌다. 또 모빌리티 서비스나 차량용 소프트웨어 분야에 대해서도 공적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차량용 소프트웨어 산업의 경쟁력을 위해 민간 부문 투자 확대와 국내 인력양성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며 "모빌리티 서비스 분야는 실증기반을 늘리고 데이터 활용에 관한 제도적 기반이 요구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민간과 정부가 긴밀히 협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산업IT부 최대열 기자 dychoi@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