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사 5곳 중 1곳은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 낸다

전경련, 상장사 2347곳 한계기업 조사
작년 한계기업 전체의 17.5%…2016년 9.3% 두배

상장사 5곳 중 1곳은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제대로 못 내는 한계기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상장사 2347곳 한계기업 비중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작년 말 기준 한국 상장사 17.5%가 한계기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9.3%보다 8.2%포인트 높아졌다. 한계기업은 연간 영업이익이 이자비용보다 3년 연속 적었던 업체라는 뜻이다.

작년 코스닥 한계기업은 20.5%, 코스피는 11.5%였다. 2016년과 비교하면 코스피는 9.3%에서 2.2%포인트 올랐지만 코스닥은 9.3%에서 20.5%로 11.2%포인트 높아졌다. 전경련은 "코스피 기업보다 영세한 코스닥 업체 한계기업 비율이 더 높아진 것은 코로나19와 고금리 등 외부 충격에 취약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작년 한 해만 영업이익이 이자비용보다 적은 일시적 한계기업은 전체의 30.8%였다. 상장사 3곳 중 1곳은 일시적으로 경영에 어려움을 겪었다는 뜻이다. 일시적 한계기업 비율은 2018년(27.5%)까지 20%대였다가 2019년(31.9%) 이후 4년간 30%대를 기록했다. 코로나19가 유행하기 시작한 2020년(34.5%) 가장 높았다.

한계기업 비율이 가장 높은 업종은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30.4%)이었다. 운수 및 창고업(25.8%),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25%), 도매 및 소매업(23.2%), 정보통신업(16.8%), 제조업(16.4%), 건설업(15.5%), 금융 및 보험업(3.5%) 등이 뒤를 이었다.

2016년 대비 작년 한계기업 비율이 크게 오른 업종은 운수 및 창고업(19.3%포인트, 6.5→25.8%),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18.1%포인트, 6.9→25%),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17.4%포인트, 13→30.4%) 등이었다. 건설업 한계기업 비율은 최근 1년 새 급등했다(2021년 8.6%→작년 15.5%).

한국 상장사 한계기업 비율은 주요국보다 높았다. 미국·영국·프랑스·독일·일본·중국·한국 2021년 한계기업 비율은 미국(20.9%), 프랑스(19.2%), 한국(16.5%) 순이었다. 2016년 대비 2021년 상승 폭은 두 번째로 컸다. 미국(12%포인트, 8.9→20.9%), 한국(7.2%포인트, 9.3→16.5%), 프랑스(6.9%포인트, 12.3→19.2%) 순이었다.

2021년 한국 일시적 한계기업 비율은 30.7%로 미국(33.5%)에 이어 2위였다. 2022년 데이터가 있는 한국·미국·일본 3개국 중에선 한국 일시적 한계기업(30.8%)이 미국(28.2%)을 추월하고 1위가 됐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산업본부장은 "2020년부터 코로나19가 확산되고 금리가 급격히 오른 데다 최근 경기마저 나빠져 한계기업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며 "안정적 금융 정책 기조를 유지하고 업종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정책을 펼 필요가 있다"고 했다.

산업IT부 문채석 기자 chaes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