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완수 경남지사, 한국전력기술과 차세대 원전 설계·제조 기술 논의

김성암 대표이사 “경남도가 원전 제조 핵심, 적극 협력”

박완수 경남도지사가 11일 도청에서 김성암 한국전력기술 대표이사를 만나 원전산업 발전 관련 지혜를 나눴다.

경남도에 따르면 한국전력기술은 1975년 설립 이후 현재 경북 김천시에 본사를 두고 있는 원자력, 화력발전소 설계 등 에너지 관련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한 국내 유일의 엔지니어링 공기업이다.

1987년 한빛 3, 4호기를 통해 원전 종합설계 기술을 자립화하고 이후 한울 3, 4호기의 종합설계를 완성했고, 한국표준형원자력발전 모델인 OPR1000을 개발하고 제3세대 원전인 모델인 APR1400도 만들었다.

현재 60㎿급 해상 부유식 소형모듈원자로 BANDI-60S를 오는 2030년까지 설계 인허가를 획득하는 것을 목표로 기술개발 진행 중이다.

박 도지사와 김 대표이사는 원전산업 발전을 위한 설계와 경남도의 강점인 제조분야에 대한 양 기관 간 상호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박 지사는 “경남은 국내 유일의 원자력발전 주기기를 생산하는 두산에너빌리티를 비롯한 원전 협력업체가 집중된 원전 제조 분야의 중심지며, 다음 주 신한울 3, 4호기 주기기 제작 착수 등 원전 생태계가 활력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3월 경남이 방위·원자력 융합 신규 국가산업단지 후보지로 확정돼 경남의 지역경제 재도약 기반이 마련됐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두산에너빌리티는 미국 뉴스케일파워사의 소형모듈원전(SMR)을 수주받아 이미 제작에 착수했고, 삼성중공업은 덴마크의 시보그사와 용융염원자로(MSR)를 적용한 부유식 발전설비 제품 개발 및 사업화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등 SMR, MSR을 비롯한 차세대 원전산업에 대해 발 빠르게 대처하고 있다”고도 했다.

박완수 경남도지사(오른쪽)가 원전산업 발전 관련 논의를 위해 김성암 한국전력기술 대표이사를 만났다. [사진제공=경남도청]

박 지사는 한국전력기술과의 차세대 원전산업에 대해 설계·제조 관련 기술교류 협력 필요성도 강조했다.

경남도가 준비하는 SMR 등 차세대 원전 제작에 필요한 혁신제조기술 개발과제가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 사업에 선정되도록 관심과 협조도 요청했다.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원자력산업협회, 두산에너빌리티, 효성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과 협의하고 있는 차세대 원전 분야(SMR, MSR) 글로벌 제조거점 육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에 한국전력기술도 참여해 달라고 했다.

이에 김 대표이사는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 부유식 원자로 등 설계는 한국전력기술, 시보그 등 다른 곳에서 하더라도 제작은 경남에서 해야 한다”며 “한국전력기술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원전 개념설계부터 시방 설계를 포함한 상세설계가 가능한 기업이므로 한국전력기술의 설계기술과 두산에너빌리티 등 경남의 강점인 제조 관련 기술이 융합하면 큰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한국전력기술도 경남도와 적극적인 협력을 희망하고 있으며, 경남도가 요청하신 사항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영남팀 영남취재본부 이세령 기자 ryeon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