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9혁명·동학농민혁명 자료, 세계기록유산 등재 눈앞

국제자문위원회 회의서 '등재 권고' 판정
"4·19혁명, 민주주의 살아있는 세계 교과서"
"동학농민혁명, 민중 주체 돼 보편적 가치 실현"

4·19 혁명과 동학농민혁명 자료의 세계기록유산 등재가 확실시된다. 17일 문화재청에 따르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IAC)는 최근 열린 회의에서 '4·19 혁명 기록물'과 '동학농민혁명 기록물'을 심사하고 '등재 권고' 판정을 내렸다. 최종 등재 여부는 다음 달 10~24일 열리는 유네스코 집행이사회에서 결정된다.

의에 죽고 참에 살자(1960.4.19)

4·19 혁명 기록물은 1960년 이승만 대통령의 퇴진을 이끈 4·19 혁명의 배경과 전개 과정, 혁명 직후 처리 과정 등을 보여주는 기록유산을 지칭한다. 국가기관과 국회·정당 자료, 언론 기사, 개인 기록, 수습 조사서, 사진, 영상 등으로 구성됐다. 불가능에 가까웠던 민주주의를 비폭력으로 이뤄낸 흔적인 만큼 세계사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문화재청 측은 "제3세계에서 최초로 성공한 비폭력 시민혁명"이라며 "유럽 68혁명, 미국 반전운동, 일본 안보 투쟁(전공투) 등 1960년대를 휩쓴 세계적 학생 저항운동의 시발점"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가 왜 민주주의를 배우고 가르쳐야 하는지,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 깨우쳐주는 민주주의의 살아있는 세계 교과서"라고 강조했다.

승리의 기록(1960.4.27)

동학농민혁명 기록물은 1894년 일어난 동학농민혁명 당시 조선 정부와 동학농민군, 농민군 진압에 참여한 민간인, 일본공사관 등이 생산한 기록 전반을 아우른다. 동학농민혁명은 당시 경제 파탄과 제국주의 열강의 침략에 대한 위기의식에서 비롯됐다. 비록 성공하진 못했으나 민중이 국가 위기와 평등을 해결하고자 벌인 무장투쟁이란 점에서 세계사적으로 의미가 있다.

문화재청 측은 "부패한 관리를 처벌하고 부당한 관행을 바로잡은 거버넌스는 당시 세계 어디에도 없던 신선한 민주주의 실험"이라며 "관련 유산은 민중이 주체가 돼 역사를 보편적 가치, 즉 평등·자유·인권·정의의 방향으로 전진시켜나갔는지 보여주는 기억의 저장소"라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시간과 장소를 초월해 인간의 권리와 평등, 식민주의에 대한 반대 등을 다양한 시각에서 종합적으로 보여준다"고 역설했다.

동학농민군 임명장

세계기록유산은 유네스코가 1992년 시작한 사업이다. 나라를 초월해 세계사와 세계문화에 큰 영향을 준 자료와 역사적 시기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거나 그 시기를 특별한 방법으로 반영하는 자료가 등재 대상이다. 심사기관인 IAC는 유네스코 사무총장이 임명한 전문가 열네 명으로 구성됐다. 이번 회의에서 등재 신청서 여든여덟 건 가운데 예순네 건에 등재 권고 의견을 냈다.

올해 두 건이 모두 등재되면 한국이 보유한 세계기록유산은 열여덟 건이 된다. 앞서 등재된 기록유산은 '훈민정음',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직지심체요절', '해인사 대장경판 및 제경판', '조선왕조 의궤', '동의보감', '일성록', '5·18 관련 기록물', '난중일기', '새마을운동 기록물', 'KBS 특별 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한국의 유교책판', '조선왕실 어보와 어책',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조선통신사 기록물' 등이다.

문화스포츠부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