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거’ 플레이션…설탕 가격 12년 만에 최고

인도 등서 생산량 감소 전망

세계 설탕 가격이 심상치 않다. 설탕 가격 상승으로 빵이나 아이스크림 등도 가격이 더 오르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16일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지난달 세계 설탕 가격지수는 127.0으로 올해 1월(116.8)에 비해 약 9% 올랐다.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가격지수는 2014∼2016년 평균 가격을 100으로 두고 비교해 나타낸 수치다

최근 6개월간의 변동을 보면 세계 설탕 가격지수는 지난해 10월 108.6에서 11월 114.4, 12월 117.2로 상승했고, 올해 1월 116.8로 하락했다가 다시 2월 125.2, 3월 127.0으로 올랐다.

올해 3월 설탕 가격지수는 지난해 10월 지수와 비교해 약 17% 높다.

지난 11일(현지시간)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거래 설탕 5월 선물가격은 톤(t)당 702.5달러를 넘겼다. 이는 2011년 이후 12년 만에 처음으로 700달러 선을 돌파한 것이다.

최근의 설탕 가격 상승 원인은 인도, 태국, 중국 등 산지에서 생산량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 때문이다.

다만 지난달의 경우 브라질에서 사탕수수 수확 전망이 양호해 가격 상승 폭은 크지 않았다.

다만 브라질 헤알화가 미국 달러보다 약세를 보였고, 국제 원유가 하락에 따라 브라질산 사탕수수가 에탄올 생산이 아닌 설탕 생산에 더 많이 투입된 점도 상승 폭을 제한한 원인으로 작용했다.

일각에선 설탕 가격 상승이 국내 식품업체의 원가 부담을 가중시켜 제품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한다.

세계 설탕 가격이 계속 상승하면 빵, 과자, 아이스크림, 음료 등 국내 가공식품 가격도 오를 수 있다.

지난해의 경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의 영향으로 세계 곡물 가격이 상승했고, 이 영향이 국내 식품 가격 인상으로 이어졌다.

특히 밀가루 가격이 급등하면서 원가 부담이 커져 국내 주요 라면회사 4곳이 지난해 하반기 순차적으로 제품 가격을 올린 바 있다. 올해도 각 식품사는 잇달아 과자, 빵 등의 가격을 줄줄이 인상했다.

이슈2팀 김은하 기자 galaxy656574@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