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경제학자 60% '올해 금리인하 없다'

3분기에 경기 침체 가능성
내년 성장률도 1.6% 전망

미국 경제학자 10명 중 6명은 올해 안에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 인하를 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경제학자 62명을 대상으로 지난 7∼11일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연준이 올해 안에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예상한 응답자는 39%에 불과했다고 15(현지시각) 보도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나머지 다수 응답자는 2024년 전에는 금리 인하가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 1월 설문조사에서 연내 금리 인하를 예상한 응답자가 절반을 살짝 넘었다는 점과 비교하면 전문가들의 금리 전망이 다소 매파(통화 긴축 선호)적으로 바뀌었다.

전문가들의 시각이 바뀐 것은 인플레이션에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더 장기화할 가능성 때문이다.

4월 조사에서 응답자들은 올해 말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을 3.53%(전년 동월 대비)로 예상했다. 이는 1월 조사 결과(3.1%)보다 확연히 높아진 전망치다.

현재 4.9%(4.75∼5.0%) 수준인 연준의 기준금리는 6월 말 5.125%(5.0∼5.25%)로 높아질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봤다. 오는 5월 또는 6월에 연준이 1차례 더 기준금리를 올릴 것이라는 전망이다.

향후 12개월 안에 경기침체가 발생할 확률은 61%로 예측돼 1월 조사 결과와 같았다.

경기침체는 올해 3분기쯤 시작돼 경미하고 짧게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문가들은 내다봤다.

지난달 실리콘밸리은행(SVB) 붕괴로 시작된 은행 위기가 침체 위협을 가중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됐다.

응답자 58%는 대체로 위기는 피했다고 판단했으며, 42%만이 앞으로 추가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

컨설팅회사 RSM의 수석이코노미스트 조 브루셀라는 "중소 규모 은행들의 문제로 추가 금융 스트레스가 초래되지 않는 한 2023년 중 금리 인하를 예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번 설문조사에 따르면 올해 4분기 미국의 국내총생산(GDP)은 전년 동기보다 단 0.6% 늘어나고, 내년 성장률도 1.6%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미국 경제가 연착륙하지 못할 것이라는 응답자는 76%로 1월 조사(75%) 때보다 소폭 증가했고, 현재 3.5%인 실업률은 올해 말 4.3%로 올라갈 것으로 내다봤다.

향후 4개 분기 동안 미국의 일자리는 월평균 1만2000개 늘어나는 데 그치고, 올해 3분기부터 내년 1분기까지는 일자리가 감소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전망했다.

이슈2팀 김은하 기자 galaxy656574@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