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도나도 폰 접는 이유는…불황에도 '폴더블' 잘 나가네

올해 스마트폰 시장 1.1%↓…폴더블은 50.5%↑

올해 스마트폰 시장 성장세가 한풀 꺾이지만 폴더블 스마트폰은 불황에도 크게 성장할 전망이다. 이에 폴더블의 원조 격인 삼성전자뿐 아니라 주요 제조사들이 앞다퉈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IDC는 올해 전 세계 스마트폰 시장 출하량을 약 11억9280만대로 전망했다. 이는 전년 대비 1.1% 감소한 규모다. 지난해 전 세계 스마트폰 출하량은 약 12억1000만대로, 2013년 이후 최저 규모였다. 올해는 시장이 더욱 쪼그라드는 것이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스마트폰 시장이 침체한 상황이지만 폴더블 스마트폰은 거꾸로 간다. IDC는 올해 폴더블 스마트폰 출하량을 2140만대 규모로 전망했다. 전년도 출하량인 1420만대 대비 약 50.5% 증가한 수치다. 폴더블 스마트폰 시장은 오는 2027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27.6%를 기록하면서 4810만대 규모로 커질 전망이다. 시장조사업체 디스플레이서플라이체인(DSCC)은 지난해 7개 브랜드가 19개 폴더블 스마트폰을 출시했는데, 올해는 10개 브랜드가 최소 37개 제품을 내놓을 것으로 내다봤다.

소비자 수요도 상당하다. 시장조사기관 카운터포인트리서치 설문조사 결과 미국 스마트폰 사용자의 28%는 다음 제품 구매 시 폴더블 스마트폰을 선호한다고 답했다. 특히 월 소득 1만 달러(약 1315만원) 이상 고소득 계층 응답자는 41%가 다음 스마트폰으로 폴더블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고 응답했다.

스마트폰 시장 불황에도 거꾸로 가는 성장세에 주요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폴더블 시장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 현재 폴더블 시장은 삼성전자가 주도하고 있다. 트렌드포스 조사 결과 지난해 삼성전자의 폴더블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은 약 82%에 달했다. 화웨이, 오포, 비보 등 중국 제조사들이 삼성의 뒤를 쫓고 있다. 구글, 애플, 샤오미 등도 폴더블 싸움에 속속 뛰어들 것으로 보인다.

폴더블 맹주 삼성전자는 오는 8월께 갤럭시Z폴드·플립5를 출시할 것으로 관측된다. 해외 IT 전문 매체 샘모바일은 팁스터(정보유출자) 슈퍼로더를 인용해 커버 디스플레이가 커지고 카메라 배치가 변경된 플립5 모형을 공개했다. 화웨이는 오는 8일 중국에서 폴더블 스마트폰 메이트X3를 출시할 예정이다. 밖으로 접었던 전작과 달리 폴드4와 같은 인폴딩 방식을 채택했다. 무게 239g에 두께 5.3mm로 폴드4(263g, 6.3mm)에 정면 승부를 걸었다. 비보는 비보X폴드2와 비보X플립 출시를 앞두고 있다. 여기에 구글과 애플도 가세하며 시장이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더 버지 등 해외 IT 전문 매체는 최근 구글이 첫 폴더블 스마트폰 픽셀 폴드를 6월께 출시할 것으로 예상했다. 애플의 폴더블 스마트폰 출시 계획은 구체적으로 알려진 바 없다. 그러나 최근 폴더블 관련 기술 특허를 연달아 취득하면서 곧 폴더블 시장에 뛰어들 것으로 점쳐진다.

산업IT부 오수연 기자 syoh@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