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바사, 송도에 3200억원 투자…'글로벌 바이오 허브 구축'

송도 9200평 부지에 '글로벌 R&PD 센터' 설립
출범 후 최대 규모 투자
CGT·mRNA 연구시설도

[아시아경제 이명환 기자] SK바이오사이언스가 출범 이후 최대 규모의 시설 투자를 통해 바이오 허브 구축에 나선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이사회 결의를 통해 '송도 글로벌 R&PD 센터(Global Research & Process Development Center)' 설립을 의결하고 설립을 위한 절차 진행에 착수한다고 8일 밝혔다.

이날 SK바이오사이언스는 토지비를 포함해 기승인된 투자비 419억원을 포함한 총 3257억원을 투자해 송도의 3만413.8㎡(9200평) 부지에 R&PD 센터를 설립하기로 했다. 2025년 상반기 중 R&PD 센터가 완공되면 현재 경기도 판교에 위치한 본사와 연구소가 송도로 이동하게 된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연구부터 상업 생산까지 전 과정을 아우르는 R&PD 센터 설립을 통해 기존의 비즈니스 영역을 고도화하고 신규 감염병에 선제 대응하기 위한 글로벌 백신 생태계를 조성한다는 목표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글로벌 백신 협력을 위해 R&PD 센터에 글로벌 기업 및 기관과 협력할 수 있는 오픈 랩(Open Lab)을 설립한다. 오픈 랩은 SK바이오사이언스와의 파트너십을 추진 및 강화하고자 하는 세계 각국의 바이오 기관·기업들의 사무 및 연구 공간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자체 R&D 기술력 고도화 및 자체 백신 파이프라인 강화를 위한 연구 및 생산시설 고도화도 추진한다. 우선 감염병 BSL(생물안전등급)-3 연구시설을 포함한 최첨단 연구시설을 구축할 계획이다. BSL은 생물학적 위험도가 높은 미생물 연구가 가능한 시설에 대한 등급 기준으로, 위험도가 높고 중대 질환을 유발하는 신규 감염병 대응 백신의 개발을 위해서는 BSL-3 수준의 연구 시설이 필요하다.

아울러 위탁생산(CMO) 및 위탁개발생산(CDMO) 시장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파일럿 플랜트(Pilot Plant)'도 설립한다. 파일럿 플랜트는 신규 공법이나 제품을 도입하기 전 건설하는 소규모의 시험적 설비를 의미한다. R&PD 센터의 파일럿 플랜트는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cGMP) 수준의 생산시설로 설계돼 신규 백신 과제 또는 CDMO 사업에 적극 활용될 계획이다.

파일럿 플랜트에는 신성장 전략 중 하나인 세포유전자치료제(CGT)와 메신저리보핵산(mRNA), 바이럴벡터 등 신규 연구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시설도 마련된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파일럿 플랜트에서 비임상, 임상 및 일부 상업 생산 등을 위한 시료 생산이 가능해짐에 따라 경북 안동에 위치한 백신 생산 시설인 '안동L하우스'와의 시너지를 통해 신규 파이프라인 확대에 힘을 싣는다는 계획이다.

안재용 SK바이오사이언스 사장은 "R&PD 센터는 대한민국을 넘어 전 세계의 바이오 및 백신 산업 고도화를 위한 꿈의 무대"라며 "체계적인 플랫폼 확대를 통해 경제적 이윤 창출뿐 아니라 글로벌 네트워크의 코어(Core)로써 전 세계인의 안전한 내일을 지킬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명환 기자 lifehwan@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바이오헬스부 이명환 기자 lifehwa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