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의약품 밀매에 최고 '사형'까지 경고하며 단속'

NK뉴스, 5월 발표된 포고문 입수했다며 보도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지난달 3일 "군의부문(의료부문) 전투원들이 의약품봉사에서 책임과 역할을 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김정완 기자] 북한 정권이 코로나19 확산 위기감이 증폭하던 지난 5월 사형까지 거론하며 의약품 관련 부정행위에 대해 강력한 단속 의지를 드러냈던 것으로 확인됐다.

29일(현지 시각) NK뉴스가 입수해 보도한 '포고' 내용에 따르면 북한 사회안전성은 지난 5월14일 의약품 생산·유통 저해 행위에 대해 "국가적인 최대비상방역조치에 도전하는 반국가적, 반인민적 행위로 보고 누구이든 직위와 소속, 공로에 관계없이 전시법에 따라 엄격히 처리한다"고 경고했다.

사회안전성은 "포고를 어긴 행위가 특히 엄중한 자는 사형에 이르기까지 엄벌에 처하며 동거가족은 이주·추방한다"며 연좌제까지 적용할 것임을 밝히기도 했다.

또 "의약품이 2중 공급되거나 비싸게 판매, 밀매되는 것과 같은 현상이 절대로 나타나지 않도록 할 것"이라며 "의료기관 등은 의약품 접수와 수송, 보관 과정에서 한 알의 알약, 한 대의 주사약도 분실·허실 되지 않도록 하라"고 했다.

주민에게는 "국가 최대 비상 방역 조치에 불응하면서 비상 의약품과 생산원료를 훔치거나 빼내어 밀매하는 행위를 절대로 하지 말 것"이라고 경고했고, '일군'(간부)들에게는 "직권으로 의약품·생산원료를 비법(불법)적으로 빼내거나 개별 주민에게 넘겨주는 행위를 절대 하지 말라"고 경고했다.

기관과 기업 등을 향해서는 "돈벌이에 눈이 어두워 인민들의 생명 건강을 해치는 가짜 의약품과 불량 약품을 제조 밀매하거나, 식량과 상품 가격을 올리면서 민심을 흐리게 하는 행위를 절대로 하지 말라"고 강조했다.

해당 포고문은 평양의 한 약국 옆 벽면에 게시돼 있었다고 NK뉴스는 보도했다.

지난 5월은 북한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확산하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강력한 대응 의지를 보일 때다.

포고문 게시일 이틀 전에는 김정은 위원장이 북한의 코로나19 상황을 "건국 이래 대동란"이라고 표현하며 자신의 상비약을 어렵고 힘든 세대에 보내달라면서 내놨다.

포고문 게시일 하루 뒤인 지난 5월15일에는 비상협의회를 소집, 의약품 사재기와 불법 유통 등을 제대로 감시·통제하지 못했다며 중앙 검찰소 등 사법·검찰 부문 간부들을 강력히 질타하기도 했다.

김정완 기자 kjw106@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슈탐사부 김정완 기자 kjw106@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