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잿값 추락]슈퍼사이클 꺾였다…'경기둔화 수출기업 직격탄'(종합)

철광석 7개월만에 t당 100달러 밑으로
국제유가도 연일 하락세 연중최저치
고공행진 비철·곡물 관련주·EFT 폭락

[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 정동훈 기자, 이민지 기자] 연일 천장을 뚫었던 국제 원자재 가격이 급락하고 있다. 세계 최대 원자재 소비국인 중국이 코로나19 재확산과 봉쇄로 수요가 둔화된 데다 급격한 인플레이션(물가상승) 및 주요국의 통화 긴축 정책으로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진 영향이다.

원자잿값 급등으로 수혜를 보던 철강·정유사들은 수요 부진에 따른 생산 위축과 수익 악화의 돌파구 마련을 위해 비상경영을 선언했다. 인플레이션 장기화가 예상되면서 고공행진하던 비철금속, 농산물, 원유 관련주들도 맥을 못추는 실정이다.

◆철광석·원유 줄줄이 연중 최저=철광석 가격은 7개월 만에 처음으로 t당 100달러선이 깨졌다. 25일 산업통상자원부 원자재가격정보에 따르면 북중국(CFR) 철광석 가격은 지난 21일 기준 t당 96.4달러(약 12만 6370원)로 나타났다. 철광석 가격은 지난 15일 이미 96.6달러까지 떨어져 작년 12월 이후 처음으로 100달러를 하회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철광석 가격은 200달러를 웃돌았다. 이는 철강재 유통 가격으로 전가됐다. 최근 1년새 철강업계가 역대급 실적을 기록할 수 있었던 이유다. 하지만 1년 만에 업계는 ‘피크아웃(고점 통과 후 하락세)’ 우려에 놓이게 됐다.

세계 제철 생산량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는 중국 제철소들도 하반기 생산을 더욱 줄일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정부의 생산제한 방침에 따라 올해 상반기에도 연간 감산 목표를 달성한 바 있다. 세계 최대 광산업체인 ‘발레’도 이달 들어 올해 철광석 생산 전망치를 3억2000만~3억3500만t에서 3억1000만~3억2000만t으로 하향 조정했다.

국내 철강업계에도 위기감이 확산되는 모습이다. 포스코그룹은 지난 21일 최정우 회장 주재로 그룹내 사장단 및 전 임원이 참석한 가운데 그룹경영회의를 열고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했다. 최 회장은 전사의 위기대응 긴급대책 수립을 주문하면서 "각 그룹사 경영진들은 현금 흐름 및 자금 상황이 문제되지 않도록 현금 중심 경영을 한층 강화해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제유가도 하향 안정세를 보이면서 상반기 역대급 실적을 기록한 정유사들의 실적 부진도 점쳐진다. 국제유가는 이달들어 배럴당 100달러 선을 하회하고 있다. 서부텍사스유(WTI)는 22일 기준 94.7달러로, 러-우 전쟁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연중 최고가를 찍은 3월8일 기록한 123.7달러 대비 23%나 떨어졌다.

국제유가를 끌어내리는 원동력은 경기 둔화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석유수출기구(OPEC)은 내년도 석유수요 증가세가 올해보다 둔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7월 석유시장보고서에서 올해 석유 수요는 하루 1억29만배럴로 작년보다 336만배럴이 증가한 반면, 내년에는 1억299만배럴로 270만배럴이 늘어나는데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정제마진이 급격하게 악화되면서 정유사 실적 부진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이달 21일 기준 싱가포르 복합 정제마진은 2.71달러로 연중 최저치를 기록 중이다. 정제마진은 통상 4~5달러를 손익분기점으로 본다. 이러한 상황이 길어질 경우 국내 정유사들도 감산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유가·비철·곡물 관련주에 ETF도 폭락=증시에서도 원자재 관련주들은 연일 하락세다.

유가 급등에 S-Oil은 올해 1월3일 8만5900원에서 지난달 10일까지 12만1500원으로 40% 넘게 급등했지만 최근 한 달 동안엔 13%넘게 빠졌다. 같은 기간 중앙에너비스(-15%), SK이노베이션(-10%), 흥구석유(-4.6%) 등도 하락세를 이어갔다. 유가 상승으로 수주 확대를 기대했던 조선주 대우조선해양(-12%), 한국조선해양(-9%) 등도 떨어졌다.

구리, 아연 등 비철금속 관련주도 같은 신세다. 구리를 활용해 제품을 생산하는 풍산은 지난달 이후 16% 하락했고, 니켈을 사용해 스테인리스 냉연강판을 생산하는 현대비앤지스틸은 22% 넘게 폭락했다. 구리 제련업을 하는 LS(-18%), 아연 제련업체인 고려아연(-21%)도 떨어졌다.

곡물, 사료 관련주들의 하락세도 짙어지고 있다. 닭고기 관련주로 지난 4월 4000원대까지 치솟았던 하림은 현재 2900원에서 거래되며 지난달 이후 23%넘게 폭락했다.

이외에도 같은기간 한일사료(-37%), 우진비앤지(-16%) 모두 급락했다. 상장지수펀드(ETF) 투자자들의 명암은 엇갈렸다. 하락에 베팅한 인버스 ETF 수익률은 그동안 마이너스 수익률에서 플러스로 돌아섰고, 상승에 베팅한 ETF들은 하락 반전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정동훈 기자 hoon2@asiae.co.kr이민지 기자 ming@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산업부 정동훈 기자 hoon2@asiae.co.kr증권부 이민지 기자 min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