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안지역안보포럼, 한미일 대북 압박에 따른 북한 대응은

[아시아경제 유인호 기자] 북한이 다음달 3년 만에 대면 방식으로 열리는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에서 어떤 메세지를 내놓을지 주목된다.

한·미·일 3국은 ARF에 참석, 북한 핵무기 고도화 및 미사일 도발에 대한 강력한 경고를 예고하고 있어 3국 공조에 따른 북한의 대응이 예상된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24일 외교가에 따르면 다음 달 캄보디아에서 ARF 외교장관회의가 3년 만에 대면 형식으로 열릴 계획이다. 코로나19 탓에 재작년과 지난해 2년 연속 화상회의로 진행됐지만 3년 만에 대면 방식으로 돌아갔다.

이번 회의에서 관심사는 최선희 북한 외무상 참석여부다. ARF는 북한이 참여하는 유일한 다자안보협의체다. 최 외무상은 최근 북한의 외교 수장에 올랐다.

다만, 최 외무상이 북한내 코로나19 탓에 참석 가능성은 낮다는 관측이 나온다. 코로나19 유행 초기부터 강력한 국경 봉쇄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북한의 새 주중 대사가 지난해 초 베이징에 부임했지만, 전임 대사는 여전히 북한으로 돌아가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내정된 신임 주북 중국대사도 아직 북한 땅을 밟지 못했다.

이에따라 북한은 안광일 주아세안대표부 대사를 ARF 회의에 보낼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한미 양국은 ARF에 앞서 대북 정책을 긴밀하게 협의하고 있다.

한국과 미국의 북핵수석대표인 김건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성 김 국무부 대북특별대표가 22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만나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 대응 공조 강화 방안 등을 논의한 것도 이같은 맥락에서다.

성 김 대표는 주인도네시아 대사를 겸하고 있다. 우리 정부는 관계부처 협의 및 한미 간 긴밀한 협의를 통해 대북정책 로드맵을 성안하고 있는 만큼, 이번 한미 북핵수석대표 협의에서도 로드맵에 대한 구체적이고 심도 있는 협의를 했다.

정부는 북한의 비핵화 진전에 따라 경제협력과 대북 안전보장 등 상응조치를 단계적으로 제공하는 내용의 ‘담대한 계획’을 마련 중이다.

유인호 기자 sinryu007@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부 유인호 기자 sinryu007@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