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시장, 창신·숭인 후보지 방문…연내 신통기획안 마련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오세훈 시장 "신통기획 통해 적극 지원"

21개 후보지 내년부터 정비구역 지정절차 진행

현재 33곳서 신통기획 재개발 추진

매년 공모 등으로 대상지 확대해 2025년까지 13만호

[아시아경제 김민영 기자] 오세훈 서울시장의 6대 재개발 규제완화책이 처음 적용되는 서울 종로구 창신·숭인동 등 민간 재개발 후보지 21곳에 대한 신속통합기획안이 연내 수립된다. 서울시는 내년 상반기부터 정비구역 지정 절차를 순차적으로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21일 민간 재개발 후보지 중 하나이자 서울의 대표적인 노후 저층 주거지인 '창신·숭인지역'을 방문해 추진상황을 점검했다. 오 시장은 이 자리에서 실질적이고 물리적인 주거환경 개선이 이뤄질 수 있도록 신속통합기획을 통해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신속통합기획은 민간 주도 개발에 공공이 서포터가 돼 정비계획 수립 초기단계부터 각종 계획과 절차를 지원하는 제도다. 통상 5년 이상 걸리는 구역지정 기간을 2년으로 대폭 단축할 수 있다. 오세훈 시장 취임 후 본격 도입됐다.

현재 창신·숭인지역 등 민간 재개발 후보지 21곳이 신속통합기획을 통한 속도감 있는 재개발 추진 절차를 밟고 있다. 현재 각 자치구에서 정비계획 수립을 준비 중으로 연내 신속통합기획안을 수립하고 내년 상반기부터 정비구역 지정 절차를 순차적으로 시작한다. 21곳에서 재개발 사업이 완료되면 약 2만5000호가 새롭게 공급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이날 오 시장이 방문한 창신·숭인지역은 2010년 재정비촉진사업이 추진됐지만 2013년 구역이 해제되는 부침을 겪었다. 이후 2014년 지역활성화 및 노후주거지 환경개선을 목적으로 도시재생 선도지역으로 지정됐다. 창신·숭인지역은 재생지역으로 재개발사업을 추진할 수 없었으나, 재개발사업 대상을 재생사업까지 확대해 선정됐다. 도시재생 마중물 사업은 2019년 모두 완료됐고, 현재는 일부 연계사업만 남겨둔 상태다.

선정된 후보지 중에서는 오세훈표 규제완화의 수혜를 본 지역들이 다수 포함됐다. 창신·숭인지역과 같이 낙후된 주거 여건에도 그동안 각종 규제로 개발이 막혔던 지역들도 앞으로는 주거환경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서울시내에는 민간 재개발 후보지 21곳을 포함해 총 33곳에서 신속통합기획을 통한 재개발이 추진 중이다. 이들 구역의 사업이 완료될 경우 공급 가능한 물량은 약 4만3000호로 예상된다.

시는 ▲재개발 공모를 통한 후보지 발굴 ▲신속통합기획 적용 ▲불필요한 도시규제 개선 및 주민소통 강화 등 재개발 활성화를 위한 모든 역량을 집중해 2025년까지 13만호(구역지정 기준)를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시는 그동안 적용했던 35층 높이제한, 한강변 15층 높이제한 삭제 등을 담은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안)을 이달 초 발표했다. 시가 추진할 각종 계획의 지침이 되는 최상위 공간계획이자 국토계획법에 따른 법정계획으로 지역 여건을 고려한 정비계획 수립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김민영 기자 argus@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김민영 기자 argus@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