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서 15개 논문 채택…'한국어 AI 기술력 입증'

[아시아경제 강나훔 기자] 네이버는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Human&Cognitive Language Technology·HCLT) 2021'에서 자사의 한국어 처리 기술과 연구 성과를 15편의 논문으로 발표했다고 19일 밝혔다.

HCLT는 한국어 처리 기술과 연구 성과를 공유하는 국내에서 가장 권위 있는 학술대회로 매년 한글날 전후로 개최된다. 올해는 지난 14일부터 15일까지 진행됐다.

네이버는 2014년부터 꾸준히 한국어 처리 기술 관련 최신 연구 성과를 HCLT에서 공유하고 있다. 한국어 처리 기술은 사람이 사용하는 언어인 한국어를 컴퓨터가 이해하도록 만드는 기술로, 네이버 검색의 핵심 기술 중 하나다.

특히 올해 네이버가 HCLT에 발표한 논문 15건은 지난해보다 2.5배 많은 양이다. HCLT 2021에서 채택된 네이버의 연구 논문은 언어 처리 신뢰성, 기계 학습, 질의응답, 정보 추출, 언어 처리 응용, 대화 시스템, 온톨로지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한다.

그 중에는 한국어 초대규모 한국어 인공지능(AI) ‘하이퍼클로바’ 등을 개발하기 위해 수년간 진행해온 연구 과정과 성과들도 포함됐다. 외부 연구자들과 활발히 연구 성과를 공유하며 국내 AI 연구 수준 향상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네이버가 HCLT에서 발표한 연구 중 일부는 네이버 검색 서비스에 적용됐다. 음성 대화 시스템의 슬롯 교정에 대한 연구는 AI 스피커의 음악 재생 기능에 적용됐으며, 위키데이터 기반 분류체계 연구와 메타블로킹 연구는 사용자가 노래 제목을 검색했을 때 지식베이스에서 음원사이트로 바로 연결되는 기능으로 구현됐다.

?강인호 네이버 서치 CIC 책임리더는 "독보적인 한국어 정보 처리 기술력을 기반으로 국내 서비스를 개선해 나가는 한편, 글로벌 빅테크와 경쟁하는 AI 기술 플랫폼으로 거듭나기 위해 연구 개발에도 정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나훔 기자 nahum@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4차산업부 강나훔 기자 nahu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