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녹십자랩셀-GC녹십자셀 합병…'세포치료제 사업 박차'

11월까지 합병 마무리
새 상호 'GC Cell'로 변경

[아시아경제 김지희 기자] GC녹십자 계열의 바이오회사인 GC녹십자랩셀과 GC녹십자셀이 합병한다.

GC녹십자랩셀과 GC녹십자셀은 16일 각각 이사회를 열고 합병을 결의했다고 16일 밝혔다. 당국의 기업결합 심사와 양사 주주총회 등을 거쳐 올해 11월까지 합병을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합병비율은 1대 0.4로, GC녹십자셀 주식 1주 당 GC녹십자랩셀의 신주 0.4주가 배정된다. 합병 후 존속법인은 GC녹십자랩셀이며 이번 통합을 계기로 상호는 'GC Cell(지씨셀)'로 변경된다.

이번 합병은 세포치료제라는 공통 분야에서 각각 다른 역량을 가진 두 회사를 결합해 글로벌 경쟁력을 끌어올리기 위한 결정이라는 게 회사측 설명이다. GC녹십자랩셀은 NK세포치료제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췄으며, GC녹십자셀은 항암제 ‘이뮨셀LC’를 통해 세계 최다 세포치료제 생산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유사 기업을 결합해 기업가치를 올리기 위한 전략"이라며 "상호보완적인 계열사간 합병의 틀을 넘어 시너지 효과를 내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합병이 성사되면 연구개발(R&D) 포트폴리오가 사실상 세포치료제 영역의 완성형이 될 것으로 양사는 기대하고 있다. CAR-NK, CAR-T 등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항암 세포치료제 파이프라인이 20개 이상이고, 특허는 40여개를 확보하게 된다. R&D 인력은 120명에 달한다. 통합법인은 미국 현지 관계법인인 아티바(Artiva)와 노바셀(Novacel)을 통해 거대 제약사와의 협업이나 기술 수출을 가속화한다는 의지다.

아울러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 확장에도 나선다. 국내 최대 규모 세포치료제 생산시설을 보유한 GC녹십자셀의 제조 역량과 GC녹십자랩셀의 공정기술이 더해지기 때문이다. 세포치료제 분야는 바이오의약품 가운데 (임상)개발이 가장 활발해 CDMO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다. 시장조사기관 프로스트앤설리번에 따르면 관련 시장 규모는 지난해 기준 6억8000만달러에서 오는 2025년 37억달러로 5배 이상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지희 기자 ways@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4차산업부 김지희 기자 ways@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