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맞벌이 가구 60.4%로 '전국 1위'…울산은 최하위

울산 GRDP↑…여성 고용률 가장 낮아
부부가 같은 산업에 종사하는 가구, 전년比 2만3000가구↓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장세희 기자]제주도가 전국에서 맞벌이 가구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통계청의 '2020년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맞벌이 가구 고용 현황'에 따르면, 제주 지역의 배우자가 있는 15만8000가구 가운데 맞벌이 가구는 60.4%인 9만6000가구로 전국에서 가장 비중이 높았다. 전남(57.7%)과 전북(54.3%)도 절반 이상이 맞벌이 가구였다.

세종(50.6%), 광주(48.7%), 대전(46.7%)도 전국 맞벌이 가구 비율 평균(45.4%)을 웃돌았다.

통계청에 따르면, 농림어업과 도소매업이 많은 지역이 맞벌이 비중이 높다. 실제로 제주, 전남, 전북은 농림어업 비중이 20%가 넘는 지역이다.

반면 맞벌이 가구 비중이 가장 낮은 곳은 울산으로, 배우자가 있는 28만8000가구 중 맞벌이 가구는 37.9%인 10만9000가구에 불과했다. 이는 낮은 여성의 고용률과 관계가 있다.

울산 여성의 고용률은 전체 17개 시·도 중 가장 낮았다. 지난해 울산의 남성 고용률은 전년 대비 0.1%포인트 오른 71.0%였지만, 여성의 경우 2.1%포인트 떨어진 44.7%였다.

특히 울산은 지역 내 총생산(GRDP)이 높고 대기업 단지가 많아 여성의 맞벌이 수요가 높지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

교육 정도별로 보면 유배우 가구 대비 맞벌이 가구 비중은 대졸 이상이 전년 대비 0.3%포인트 오른 49.1%로 가장 높았다.

대졸 이상 유배우 가구 582만2000가구 가운데 285만7000가구가 맞벌이였다. 반면 고졸 가구의 경우 44.7%, 중졸 이하 가구는 36.3%로 1년 전보다 비중이 각각 1.5%포인트, 1.7%포인트 줄었다.

동거 맞벌이를 하는 498만4000가구 중 부부가 같은 산업에 종사하는 가구(185만4000가구)는 전년 대비 2만3000가구 줄었다. 동일 산업에 종사하는 맞벌이 가구 비중은 37.2%였다. 동일 산업 비중은 농림어업(80.5%), 도소매·숙박음식점업(54.6%)에서 높았고, 전기·운수·통신·금융업(12.9%), 건설업(13.2%)에서 낮게 나타났다.

한편 동거 맞벌이 가구 중 같은 직업에 종사하는 부부는 190만9000가구로 1년 전보다 1만1000가구 늘었다. 비중은 0.6%포인트 늘어난 38.3%를 차지했다.

장세희 기자 jangsay@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경제부 장세희 기자 jangsa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