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외환보유액 4565억달러 또 역대최대…사우디 제치고 8위

한국은행 '2021년 5월말 외환보유액'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김은별 기자]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이 한 달 만에 41억5000만달러 늘며 또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미국 달러화 약세 속에 외화자산 운용수익도 늘어난 데 따른 것이다. 외환보유액 규모는 세계 9위에서 8위로 한 단계 올랐다.

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1년 5월말 외환보유액'에 따르면 5월말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은 4564억6000만 달러로 전월말(4523억1000만 달러)보다 41억5000만 달러 증가했다. 지난 4월에 이어 두 달 연속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는 미달러화 약세에 따른 기타통화표시 외화자산의 미달러화 환산액이 증가하고, 외화자산 운용수익도 늘어난 데 따른 것이다. 실제 주요 6개국 통화를 대상으로 한 미달러화지수는 5월말 90.03로 0.6% 하락했다.

자산별로 국채, 정부기관채, 회사채, 자산유동화증권 등 유가증권이 4140억5000만달러로 전체 90.7%를 차지했다. 예치금은 294억4000만달러(6.4%), 금은 47억9000만 달러(1.1%), IMF에 대한 교환성통화인출권리인 IMF포지션은 46억4000만 달러(1.0%)를 차지했다. 또 국제통화기금(IMF)의 특별인출권인 SDR은 35억4000만 달러(0.8%)로 나타났다.

이런 가운데 올해 4월말 기준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 규모는 세계 8위로 다시 1계단 올라갔다. 올해 2월말에도 사우디아라비아를 제치고 약 2년만에 8위로 올라섰다가 3월엔 다시 9위로 떨어진 바 있다.

한은 관계자는 "사우디(4406억달러)와의 외환보유액 규모 차이는 100억달러 정도 차이라 순위는 다시 변할 수도 있는 부분"이라며 "장기적인 코로나19 사태로 사우디의 석유 생산이 줄고 국제유가 하락에 직면하면서 외환보유액이 지속적으로 줄어든 영향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김은별 기자 silverstar@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경제부 김은별 기자 silverstar@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