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일반어선도 안전정보·원격의료 이용…'바다 내비' 개선

제1차 지능형 해상교통정보서비스 기본계획…'전세계 24시간 서비스' 목표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세종=아시아경제 문채석 기자] 정부는 현재 시행하고 있는 지능형 해상교통정보 서비스인 '바다 내비게이션'(e-Navigation) 서비스를 고도화한다. 2025년까지 어선과 낚시어선 등에도 파고·기상변화 등 안전 정보를 제공하고, 원격의료 서비스를 일반 어선에도 적용하게 된다.

해양수산부는 바다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대폭 개선하는 내용의 '제1차 지능형 해상교통정보서비스 기본계획'(2021∼2025년)과 올해 시행계획을 세워 29일 공개했다.

해수부는 우선 어선, 요트, 낚시어선 등 사고에 취약한 선박을 대상으로 바다 내비게이션이 파고, 기상변화, 수심 변화 등 세부적인 안전관련 정보까지 제공할 수 있도록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사고가 자주 일어나는 해역을 분석하고 바다의 실시간 교통밀집도 정보도 제공한다. 특히 용도와 기능에 따라 통항분리수역, 교통안전특정해역, 유조선통항금지해역, 항만주변 교통밀집 해역 등으로 나누어진 해역별로 맞춤형 해상교통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연안여객선에 대해서는 바다 내비게이션이 선박 복원성 상태와 화재 발생 등을 자동으로 탐지할 수 있도록 관련 기술을 2024년까지 개발한다. 해수부는 이런 작업에 2025년까지 264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먼바다에 나가 있는 선원이 질병이나 부상을 겪을 때 지원하는 원격의료서비스는 2023년까지 해군과 관공선을 우선으로 제공하고, 이후에는 어선과 화물선 등 일반선박으로 확대한다. 선박 위치발신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소형선박에 대해서는 레이더 정보와 모바일 앱(응용프로그램) 기술을 적용해 밀입국을 감시할 수 있는 체계를 2023년까지 구축한다.

재난이 발생했을 때 바다 내비게이션에 적용된 초고속 해상 무선통신망(LTE-M)이 긴급 통신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기지국 등을 통한 대응 절차를 올해 안에 수립한다. 이어 내년까지는 LTE-M 통신망을 활용해 해양경찰, 소방청, 지방자치단체 등이 해양사고에서 협업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든다.

해수부는 바다 내비게이션과 LTE-M 통신망이 민간에서도 더 널리 활용될 수 있도록 2024년까지 해양사고 발생정보나 어선 조업정보 등 해상교통 빅데이터를 민간 기업에 제공해 사업화할 수 있도록 돕는다. 나아가 디지털 해양교통정보서비스 산업에서 세계시장을 선점하고자 차세대 전자해도 장비, 차세대 디지털 통신장비, 해상교통 안전관리 플랫폼 등 경쟁력 있는 기술을 선정해 연구개발(R&D)을 지원하기로 했다.

해수부는 바다 내비게이션이 국경에 제한받지 않고 전 세계 수역에서 24시간 끊김 없이 작동할 수 있도록 올해부터 세종시에 국제협력사무국을 설치하고 국제정보 공유체계(MCP) 구현을 위한 기술 개발에 착수한다. 해수부는 이를 통해 2025년까지 바다 내비게이션 서비스 이용률이 국내 전체 등록선박(9만7000척)의 80%에 이르도록 할 예정이다.

해수부에 따르면 바다 내비게이션 도입을 계기로 앞으로 10년간 디지털 해양교통정보 시장은 290조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세종=문채석 기자 chaeso@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경제부 문채석 기자 chaes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