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경 보험硏 원장 '비용절감 위주 디지털화·대면채널은 한계'

"보험산업 혁신 촉진과 사회안전망·실물경제 기여도 제고"

안철경 보험연구원장

[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 안철경 보험연구원장은 21일 데이터와 플랫폼 기반의 디지털 경제가 빠르게 전개되는 환경에서 비용절감 위주 디지털화와 대면채널로는 대응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디지털 비대면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려면 상품, 채널, 자본 등에서 상당한 구조개혁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안 원장은 "보험산업의 핵심 도전과제는 효과적인 디지털 전환과 생산적인 협력모델 구축"이라며 "비대면 경제활동이 일상화되면서 설계사와 같은 대면채널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보험사가 소비자 접점을 어떻게 유지해 나갈 것인가에 대한 깊은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진단했다.

안 원장은 보험연구원의 올해 연구방향으로 '협력적 경쟁(Coopetition)'과 '경영혁신'을 제시했다.

그는 "저성장, 비대면 환경에서는 산업 내·외의 기업, 정부 등과 협력을 통해 시장을 확대한 후 공정경쟁을 통해 소비자 후생을 높여 생산적인 보험생태계를 조성하는 협력적 경쟁이 필요하다"며 "수익성을 억압하고 있는 사업모형의 재조정, 적절한 위험관리와 경영투명성 제고, 빅데이터 활용 등 위험선별능력 강화를 통해 경영혁신과 보험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을 높여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연구원은 이를 위해 보험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경영혁신 촉진'과 '경영투명성 강화'에 주목한 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소개했다. 아울러 생산적인 보험생태계 조성을 위해 '협력적 경쟁'에 주목한 연구도 진행키로 했다.

아울러 연구원은 올해 보험시장 현안 모니터링을 위해 ESG(환경·사회·지배구조)연구센터와 모빌리티보험센터를 운영하고, 산학연구센터를 통해 산업 간 경계를 넘나드는 현안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안 원장은 "비대면 환경에서 온·오프라인 세미나 병행, 일반인 대상 동영상 컨텐츠 제작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구 성과를 알리고, 사회 여러 계층의 피드백을 반영함으로써 현안 분석과 대안 제시에 치우침이 없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