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재난 피해, AI 드론으로 파악한다

문화재청, 내년부터 AI 영상분석기술 탑재 드론 상시 투입

[아시아경제 이종길 기자]문화재 안전관리에 인공지능(AI) 영상분석기술을 갖춘 드론이 투입된다. 문화재청은 AI 영상분석기술 탑재 드론을 활용한 문화재 안전관리 전략을 연말까지 수립해 내년부터 드론을 상시 투입한다고 23일 전했다.

이 드론은 안전관리 현장을 비행하며 조사 및 감시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면적이 넓고 인력이 상주하기 어려운 지역에 있는 문화재와 재난 발생 시 문화재 피해를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 문화재청 측은 “문화재 상공을 돌며 영상을 축적하면 재난 전후 상태 등을 비교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문화재청은 지난해 4∼12월 전문가 태스크포스를 구성해 문화재 재난 안전 분야에서 사용할 드론 기술 현황과 활용 방안을 검토했다. 드론에 자율순찰과 영상분석을 통한 이상 현상 알림, 자동 충전 설비 장치인 드론 스테이션, 실시간 영상 전송 기술이 필요하다고 판단해 관련 성능을 확보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문화재청 측은 “드론의 종류와 수량은 하반기가 돼야 확정될 것”이라고 했다.

문화재 조사 및 발굴 현장에서의 드론 활용은 더 이상 낯설지 않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지난해 독도에서 레이저 스캐닝이 가능한 첨단장비 ‘라이다(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를 탑재한 드론을 선보였다. 이 드론은 18만7000여㎡에 이르는 독도 천연보호구역 상공을 비행하며 지형과 식생 등을 면밀하게 조사했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문화부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