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유·화학 1분기 적자 예고‥ '포스트 반도체' 배터리도 주춤

[아시아경제 박소연 기자] 지난해 업황 불황으로 실적 부진에 시달린 국내 정유·화학 업계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에 최근의 국제유가 폭락까지 겹악재를 맞닥뜨리며 1분기에 추가 실적 악화를 예고하고 있다.

15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1분기 SK이노베이션 영업손실은 최대 4000억원, 에쓰오일 영업손실은 3200억원으로 예상됐다.

두 회사는 코로나19 여파와 국제유가 급락이 겹치면서 국내 주요 기업들 중 1분기 실적에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SK이노베이션 1분기 영업익 전망치는 한달 전보다 77.9%, 에쓰오일도 76.5% 하향조정됐고 유가 폭락 이후 주가도 크게 떨어져 있는 상황이다.

올해 초 정제마진이 회복세를 보이며 정유업계는 한때 실적 개선 기대감을 키웠으나, 코로나19 영향으로 정제마진은 다시 급락세를 보이고 있다.

2월 중순부터는 중국을 중심으로 수요 감소가 본격화했는데, 코로나19가 팬데믹으로 확대하며 수요 감소는 더욱 확대할 전망이다.

정유업계 관계자는 "국제유가 급락으로 재고평가 손실이 발생하고, 코로나19로 글로벌 수요가 감소한 데다 정제마진 악화까지 겹쳐 경영 환경이 더욱 악화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석유·화학업계도 원재료인 나프타(납사) 가격이 하락에 따른 일부 수혜가 있긴 하지만, 코로나19 영향으로 수요 위축 악재가 있다.

LG화학의 1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전망치)는 전년 동기보다 33.71% 감소한 1826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4분기 영업손실 275억원을 기록했는데 이는 에너지저장장치(ESS) 사고 관련 충당금 약 3000억원을 반영한 데 따른 것이었다.

일회성 충당금을 제외한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 2757억원과 비교해도 영업이익이 900억원 이상 줄어든다는 전망이다.

롯데케미칼도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보다 약 55% 감소한 1313억원으로 전망된다. 한달 전보다 약 40% 하향조정 됐고, 최근 대산공장 사고 여파로 현재 전망치를 더 밑돌 것으로 예상된다.

'포스트 반도체'라는 기대를 받는 전기차 배터리·부품 사업도 코로나19 영향으로 도미노 타격이 우려된다.

수요처인 자동차의 판매량이 감소하면서 수주 악화 우려가 커지고,공장 운영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자동차공업협회에 따르면 지난 2월 중국 자동차 판매량은 31만대로 지난해 동월보다 79.1%나 감소했다.

중국, 한국 등 아시아 중심이었던 코로나19가 최근 팬데믹으로 확대하면서 유럽, 미국 등 주요 시장에서 자동차 수요 감소도 예고된다.

전기차 배터리 수주 확대에 주력하고 있는 LG화학, 삼성SDI, SK이노베이션 등 국내 배터리 3사의 실적 전망도 어두워졌다.

삼성SDI도 1분기에 계절적 요인에 코로나19 영향으로 부진한 실적이 예상된다. 하나금융투자 김현수 연구원은 삼성SDI의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보다 60% 감소한 478억원으로 보고 수익성 개선 시점을 2분기로 전망했다.

배터리 업계는 또한 코로나19 사태 이후 입국제한 등 각국 조치 영향으로 인력 운용에 일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LG화학은 미국·중국·폴란드, 삼성SDI는 중국·헝가리, SK이노베이션도 미국·중국·헝가리에 전기차 배터리 생산 거점을 두고 있다.

헝가리는 지난 12일부터 한국, 중국, 이탈리아, 이란을 방문한 외국인 입국을 막기 시작했고, 폴란드도 15일부터 외국인의 입국을 금지하고 자국민도 입국과 함께 14일간 격리하기로 했다.

LS전선은 전기차 부품 사업 확대를 위해 자회사 LS EV 코리아를 이달 말 코스닥에 상장할 예정이었으나 상장을 철회했다.

코로나19 충격으로 코스피가 1700대까지 추락하는 등 시장 상황이 급격히 악화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박소연 기자 muse@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박소연 기자 mus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