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車보험 손해율 87.6%…2000억 적자에 보험료 인상 초읽기

[아시아경제 권해영 기자] 올해 3분기 손해보험사의 자동차보험 손해율(거둔 보험료 대비 지급한 보험금 비율)이 90% 가까이까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손해율이 상승하면서 영업실적도 적자로 전환했다. 손보사의 자동차 보험료 인상 움직임이 빨라질 전망이다.1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1~9월 11개 손보사의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83.7%로 전년 동기(78.9%) 보다 4.8%포인트 상승했다.손해율은 1분기 82.6%에서 2분기 80.7%로 개선됐지만 3분기 폭염 때문에 87.6%까지 치솟았다.손해율 악화로 1~9월 영업실적도 2104억원 손실을 기록해 전년 동기(2437억원 흑자) 대비 적자전환했다. 일반적으로 손해율이 77~80%를 상회하면 적자로 본다. 같은 기간 사업비율은 18.2%로 전년 동기(19%) 보다 0.8% 개선됐지만 손해율 악화가 영업실적을 끌어내렸다. 손보사 영업실적은 2분기 367억원 흑자에서 3분기 1988억원 적자로 악화됐다.대형 4개사는 모두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삼성화재는 269억원, 현대해상은 360억원, KB손보는 712억원, DB손보는 284억원 적자였다. 손해율과 사업비율의 합계가 100%를 초과하는 등 손해액, 사업비 지출이 보험료 수입을 넘어선 탓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대형사의 영업실적 악화는 손보사간 가격 경쟁에 따른 보험료 수입 감소, 부품비와 한방진료비 등 손해액 증가에 주로 기인했다"고 설명했다.7개 중소형사의 합산비율은 대부분 대형사 보다 높았고, 이 중 5개사가 영업손실을 기록했다.11개 손보사의 자동차보험 원수보험료는 12조4000억원으로 전년 동기(12조8000억원) 보다 3%(4000억원) 감소했다. 보험료 인하, 차량 등록대수 증가세 둔화 등에 따른 것이다.자동차보험 손해율 상승으로 수익성이 악화되면서 이르면 12월부터 보험사들이 차례로 보험료를 3% 안팎 인상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권해영 기자 roguehy@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권해영 기자 rogueh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